지난 2월 관련법령을 정비해 공사중단 건축물 정비사업의 주체를 경기도에서 안양시로 바꾼 강득구(안양만안) 국회의원이 14일 안양역 앞 원스퀘어 건물을 24년간 흉물로 놔둔 안양시 행정을 강하게 질타했다. 또 건축주에 대한 세무조사와 검찰조사를 촉구하고, 원스퀘어 정상화를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시작했다.강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지역위원회, 원스퀘어 빌딩의 조속한 해결을 위한 범시민 TF팀 등 12명은 이날 오전 10시 안양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시민의 눈높이에서 원스퀘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선언했다.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668-42번지, 안양역 앞에 자리한 원스퀘어는 애초 1996년 2월 건축허가를 받았으나 98년 공사를 중단한 뒤 24년 동안 골조만 드러내고 있다.대지면적 2천739.5㎡, 연면적 36만593㎡(지하 8층~지상 13층) 규모인 건물은 건축주 (주)하운산업이 어려워져 가압류됐다. 그러자 당시 시공하던 현대건설이 공사를 중단하고 공사비 청구를 위해 토지를 경매에 넣었다. 이 경매에서 이종덕씨가 2001년 토지를 41억원에 낙찰받았다. 10년 뒤엔 건물마저 53억원에 경락받았다.당시 하운산업은 187명의 투자자를 모아 조합형식을 취한 바 있다. 187명 명의의 원스퀘어는 2012년 토지와 건물 모두 이 씨에게 소유권 이전이 완료됐다. 하지만 소유권을 정리해도 공사는 재개되지 않았다. 게다가 안양시는 지난 2018년 9월 시외버스 공영터미널 건립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원스퀘어가 준공되면 1층 161.62㎡(전용면적)을 35억5천여만원에 매입해 매표소 및 승객대기실 등으로 사용하기로 하는 내용의 MOU를 2019년 8월 체결한 바 있다. 공사비 6억8천여만원을 더하면 42억3천500만원 규모다.강 의원 등은 "시민원성에도 경기도와 안양시는 건축주가 개발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건물주의 사업시행만 기다릴 뿐 적극적 행정을 펼치지 않았다"며 "특히 준공도 떨어지지 않은 건물을 대상으로 협약을 체결하고 높은 가격으로 대합실을 매입하려 했다는 것만으로도 안양시 행정처리에 심한 유감을 표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강 의원은 여당 의원이 여당 자치단체를 비판하고 나선 데 대해 "사유재산이라 공공이 손댈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며 오랜 세월 방치했다. 전·현직 시장은 물론 시도의원, 국회의원 등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시 관계자는 강 의원의 비판에 대해 "2019년 MOU는 공사가 재개될 기미가 보여 그 앞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장소를 선점하는 차원이었다"며 "시는 건축주에게 민원 해결을 위해 조속한 공사재개를 독촉해 왔으며, 2020년 5월 건축심의를 마쳐 호텔과 숙박시설로 용도변경까지 마친 바 있다. 하지만 건축주가 사업성 불투명으로 공사 재개를 미루고 있어 시는 지난 4월1일, 건축주에게 오는 30일까지 구체적 사업계획과 일정을 제출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개정된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에 관한 정비법'이 시행되기 전 사업을 하도록 독려하고 이마저도 안된다면 법을 지렛대 삼아 필요 조치를 하겠다"고 해명했다. 안양/이석철·권순정기자 sj@kyeongin.com발언중인 강득구(안양만안, 더불어민주당) 의원. 2021.4.14 /강득구 의원실 제공강득구 국회의원이 14일 안양시청 앞에서 원스퀘어 정상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준공도 안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MOU를 맺은 시 행정을 강하게 질타했다. 여당 의원의 여당 지자체 비판에 대해 "전현직 시장뿐만 아니라 시도의원, 국회의원 모두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2021.4.14 안양/권순정기자 sj@kyeongin.com강득구 국회의원이 14일 안양시청 앞에서 원스퀘어 정상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정상화 촉구를 위한 서명운동을 1개월간 진행하기로 했다. 강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마치고 1호 서명을 했다. 2021.4.14 안양/권순정기자 sj@kyeongin.com
2021-04-14 이석철·권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