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공영주차장·의원·약국 등구도심 자치구 전국 평균 못미쳐주민수요조사 반영 연말께 완성도서관, 체육시설, 공원 등 인천 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수준이 전국 다른 도시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권역별 생활 SOC를 확대하기로 했다.인천시는 16일 미추홀구 제물포스마트타운에서 '2030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인천 원도심 균형발전계획' 수립 전 주민 공청회를 열고 계획안을 발표했다.이날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 박정은 연구위원이 발표한 '2030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안'을 보면 인천 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수준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박 연구위원이 국토부의 '기초생활인프라 현황분석조사(2019)'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전국 평균은 10점 만점 중 6~9점이었으나 인천시는 4~7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도서관은 중구와 강화, 옹진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가 2~3점에 그쳤다. 전국 평균은 7점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접근성이 떨어지고 이용자의 수나 이용 횟수가 떨어진다는 의미다.공영주차장은 전국 평균이 7점이었는데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는 1점에 불과했다. 생활체육시설과 도시공원, 공영주차장, 의원·약국의 경우는 전국 평균이 7점인데 비해 인천의 7개 자치구가 2~3점으로 열악했다. 주로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 등 구도심을 중심으로 기초생활인프라 시설 접근성이 열악한 것으로 분석됐다.시는 중부권(중·동·미추홀구), 남부권(남동·연수구), 동북권(부평·계양구), 서북권(서구), 강화·옹진 등 5개 생활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도시 재생 정책을 짜기로 했다. 또 주민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른 기초생활인프라 시설을 짓기로 했다.시 관계자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연말께 원도심 균형발전계획과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2019-10-16 윤설아
市, 올해 누적 가입 89만명 돌파한도 축소 불구 보급·정착 '안정'공유경제몰 등 부가서비스 예고인천형 전자식 지역화폐 인천e음카드의 누적 결제액이 1조 원을 돌파하며 올해 목표치를 넘어섰다.인천시는 지난해 6월 처음 선보인 인천e음카드가 최근 누적 가입자 수 89만 명, 결제액 1조 원을 넘겼다고 13일 밝혔다.인천시는 올해 말까지 인천e음카드 가입자 수 100만 명, 결제액 1조 원 달성을 목표로 잡았다. 가입자 수는 목표치까지 아직 10만여 명 남았지만 결제액은 목표치에 조기 달성했다.지난 7월까지 한 달 가입자 수가 23명에 달했던 인천e음카드의 신규 가입자 수는 시가 지난 8월 100만 원 한도액을 설정하면서 9만 명으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결제액은 7월 2천700억 원, 8월 2천500억 원으로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카드 보급·정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시 관계자는 "캐시백 규모 제한, 사행성, 유흥업소 등 업종 제한을 추가하는 개선 방안을 마련한 이후, 가입자 수 신규 등록은 다소 줄어든 반면 결제액에는 큰 변동이 없어 시민들의 인천e음카드에 대한 관심과 호응이 여전히 높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시는 인천e음카드 인지도가 커지면서 플랫폼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시민들의 유휴 자산을 빌려줘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공유 경제몰 신설, 음식 배달 업체 수수료를 낮춘 전화 주문 앱 기능 강화, 청년 창업 지원을 돕는 크라우드펀딩, 사회적 기업 상품을 살 수 있는 상점 운영 등 다양한 기능이 빠르면 이달 말 시작될 예정이다.또한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 가맹점'을 늘려 시민들에게는 추가적인 혜택을 주고 소상공인들에게는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시는 '인천사랑상품권 운영위원회'를 발족해 지난 11일 첫 회의를 가졌다. 시민사회단체, 소상공인단체, 지역화폐 전문가 등 23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시민들과 소상공인을 대표해 사업 개선을 위한 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2019-10-13 윤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