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톡

[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 톡] 두 개의 질문 : '밀정'

질문은 '암살' 이어받고 설정은 '신세계'

두 진영 사이에 '어떻게 살 것인가' 물음
2016092101001274000061571
이대연 영화평론가
흔들림이 그의 존재방식인지 모른다. 그를 흔드는 것은 질문이다. 독립은 요원하고 생존과 희망을 묻는 질문 앞에서 신념은 무기력하다. 그는 돌처럼 단단하게 자신의 안위를 지키기 원했다.

그러나 눈앞에서 자살한 친구의 발가락은 가벼웠다. 그가 충성을 증명하기 위해 인두로 얼굴을 지진 여성의 시신은 너무 작았다. 그 실존의 자리에서 그는 어디에 이름을 올릴지 결정해야 한다.

김지운 감독의 '밀정'은 기묘하다.



질문은 '암살'을 이어받는 듯하고 설정은 '신세계' 같은 언더커버 잠입물과 유사하다. 그런가 하면 이미지나 음악은 1920~3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미국 갱스터 느와르를 떠올리게 한다.

'독립이 될 줄 몰랐기 때문에 변절했다'는 '암살' 속 염석진의 말은 지극히 현실적이고 합리적이다. 동시에 질문이기도 하다. 그 가느다란 희망 앞에서 당신이라면 어떻게 했겠는가? '밀정'의 이정출(송강호)이란 인물은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다.

영화의 도입부 이정출 역시 묻는다. "너는 조선이 독립할 것 같냐?" 그러나 후반부에 가서 그는 동일한 질문을 하는 친일 부호에게 대답하지 않는다.

그의 내부에서 희망과 가능성에 대한 질문은 이미 폐기되었기 때문이다. '실패를 딛고 계속 나아가야 한다'는 도덕군자 같은 말 때문이 아니다. 갑자기 신념을 갖게 되어서도 아니다. 그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 했던 안위가 얼마나 허약한 것인지를 김장옥(박휘순)과 연계순(한지민)의 몸에서 보았기 때문이다.

경성으로의 무기 반입이 실패한 후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대규모 체포작전에서 흐르는 루이 암스트롱의 재즈곡은 영화를 낯설게 하면서 '대부' 같은 갱스터 느와르를 연상시킨다.

이전까지 '신세계'나 '무간도'처럼 두 진영 사이에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반면, 이제는 두 진영 중 어디에 설 것인지 묻는다.

그러므로 질문은 바뀐다.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 혹은 죽을 것인가'로. 질문이 바뀌는 순간 실존의 자리도 바뀐다. 시대가 변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두 질문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생존의 윤리인지, 삶의 윤리인지.

/이대연 영화평론가 dupss@nate.com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