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톡

[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 톡]사라진 여성들의 연대: '미씽: 사라진 여자'

극단적 상반된 그녀들 연결에도

시어머니의 자리는 없는 걸가?
2016121401000919700044541
이대연 영화평론가
그녀는 중국에서 왔다. 한국말도 서투르지만 사정이 급했다.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가 벅찼다. 이웃 보모 아주머니의 조카라고 하니 믿어도 좋을 거라 여겼다. 그녀를 소개받은 날, 엄마의 품에서도 울며 보채던 아이는 그녀의 노랫가락에 금세 잠이 들었다.

그녀 역시 아이를 소중히 여겼기에 점차 신뢰가 갔다. 그런데 그녀가 사라졌다. 아이와 함께. 아이를 찾기 위한 필사적 노력은 타인의 상처를 더듬으며 여성으로서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여정으로 이어진다.

'미씽: 사라진 여자'는 모성에 대한 이야기다. 탐정·추리물의 장르적 외피를 입은 영화는 어린 다은의 실종으로부터 시작한다. 아이를 찾기 위해서는 보모 한매를 찾아야 한다.



이렇게 영화는 다은의 실종을 징검다리 삼아 한매의 이야기로 넘어간다. 그러나 그녀를 추적하며 지선이 확인하는 것은 아이의 행방이 아니라 한매가 겪은 비극적 삶의 흔적들이다. 그것은 결혼이주민 여성과 워킹맘이라는 개인과 상황의 특수성을 넘어 모든 여성에게 동일한 매커니즘으로 적용되는 차별이며 폭력이다.

애초에 충돌하는 듯이 보였던 한매와 지선의 모성은 공감이라는 과정을 거쳐 연대로 이어진다. 결국 '사라진 여자'라는 부제는 한매 한 사람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은폐되고 왜곡된 채 세상의 뒤편으로 사라져야만 했던 여성의 삶 자체였던 것이다.

한국영화로서는 드물게 여성 투 톱을 전면에 내세워 여성의 삶을 복권시키고자 한 시도에 찬사를 보낸다. 그런데 이들에게 시어머니란 여전히 적대적 존재인 듯하다. 시어머니는 모성과 여성의 또 다른 이름이라기보다는 단지 남편의 어머니일 뿐이며, 끔직하고 집요하며 폭력적인 중성적 존재로 그려진다.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극단적으로 상반된 입장까지도 뛰어넘는 그녀들의 연대에 시어머니들은 끼어들 자리가 없는 것일까? 아마도 현실의 흔한 사례들에 대한 전형적 묘사겠지만, 그들까지도 끌어안는 깊이 있는 기획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다.

/이대연 영화평론가 (dupss@nate.com)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