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앵글 시즌1 성곽을 보다

[하이앵글 시즌Ⅰ 성곽을 보다·(8)당성]바다 건너 떠난 배 돌아오지 않으니 기다림은 세월 이고 땅 속에 잠들어

[하이앵글]시즌Ⅰ 성곽을 보다-⑧화성 당성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구봉산(九峰山) 위에 있는 삼국시대의 석축 산성으로, 둘레 1천200m. 지난 1971년 사적 제217호로 지정됐다.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삼국시대 중국 오가던 해상 실크로드 관문, 신라가 차지하며 통일 발판
성황당 헐자 망해루 터·4차 발굴서 유물 1천여점… 많은 부분 묻혀있어

8 화성 당성


지난해 가을부터 반 년 동안 진행된 4차 발굴조사가 끝나면서 당성에는 오랜만에 고즈넉한 여유가 흐른다. 당성은 백제 시절에는 당성군으로, 고구려 시절에는 당성으로 신라가 차지한 뒤에는 당항성으로 불렸다. 무슨 이름으로 불렀든, 삼국은 당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신라는 중국과 교류하기 위해 당성 지역이 필요했다. 또한 당나라와 전쟁을 벌여 승리하고 676년 삼국을 통일하는 발판이 된 중요한 지역이다.

가장 먼저 축성된 성벽은 구봉산 정상에서 봉화산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테뫼형으로 축조됐다. 테뫼형이란 산의 정상을 중심으로 해서 일정 공간을 돌린 형태다. 테뫼형은 보통 성벽이 7∼8부 능선을 따르고 있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시루에 흰 띠를 두른 것 같다 하여 시루성이라고도 한다.

화성 당성 하이앵글1
발굴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화성 당성 현장.

정상부의 협소함을 극복하기 위해 신라 말에 구봉산 동북쪽 능선을 따라 포곡식 성벽을 신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계곡 쪽에는 수구터가 있다. 수구터 안쪽에는 지금도 샘이 있어 물이 사철 나온다. 서벽에 연한 정상부에는 노목이 우거진 숲이 있고 여기에 성황당이 있었다.

발굴조사를 위해 성황당을 헐자 망해루인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드러났다. 먼 바다를 내다보던 산성의 망해루가 성황당이 됐다. 내다보는 사람의 마음에 담겼던 것들은 아직 많은 부분 묻혀있다.

화성 당성 하이앵글20
구봉산 당성내 자리잡고 있는 사찰 신흥사. 1934년에 창건됐다.

발굴조사는 1990년대부터 시작돼 1차 조사에서 성벽과 건물지, 2차에서 동문지, 명문기와 40여점이 발견됐다. 지난 4차 발굴조사에서 다수의 유구와 유물 1천여 점을 확인하면서 당성이 고대 해상 실크로드의 관문이었음을 재입증하게 됐다.

조차는 12차까지 계획돼 있다. 아직 초반인 것이다. 앞으로 당성이 무엇을 더 내보일 지는 아직 아무도 알 수 없다.

글/민정주기자 zuk@kyeongin.com 사진/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민정주기자

zuk@kyeongin.com

민정주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