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성단]부처님 오신 날

2018052101001643400079281

보리수 아래에서 마침내 득도한 석가모니. 중생들에게 불법을 전하려 세상에 나선다. 그 길에 처음 만난 중생이 그의 비범한 안색을 살피더니 물었다. "그대의 스승은 누구인가." 석가모니의 답이 이랬다. "나는 일체에 뛰어나고 일체를 아는 사람/ 무엇에도 더럽혀짐 없는 사람/ 모든 것을 버리고 애욕을 끊고 해탈한 사람/ 스스로 체득했거니 누구를 가리켜 스승이라 하랴/ 나에게는 스승 없고, 같은 이 없으며/ 이 세상에 비길 자 없도다./ 나는 곧 성자요 최고의 스승/ 나 홀로 정각(正覺) 이루어 고요하다./ 이제 법을 설하려 가니/ 어둠의 세상에 감로의 북을 울려라." 선각자의 사명으로 중생 제도(濟度)에 나선 석가모니의 출사표로서 부족함이 없다.

313년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를 공인한지 60년 뒤인 372년 고구려 소수림왕이 중국으로부터 불상과 경전을 받아 불교를 공인하면서 한반도 불교역사가 시작됐다. 기독교가 예수 부활 이후 급속하게 서방세계를 점유한데 비해, 기원전 5~6세기 무렵에 탄생한 석가모니의 불교는 거의 천년만에 동방의 끝자락에 다다른 셈이다. 유럽과 아시아의 공간적 차이와 개인수행을 중시하는 불교의 소극적 포교방식이 원인 아닐까 짐작해본다. 대기만성인가. 전래는 늦었지만 한반도의 불교는 삼국의 문화를 꽃피웠고, 고려의 호국종교로 전성기를 구가하면서 수많은 유무형 문화유산을 이 땅에 남겼다.

지금도 한국인은 불교의 영향권에서 생활한다. 건달, 식당, 강당, 이판사판, 야단법석, 다반사, 불가사의 등 흔히 쓰는 일상어가 불교에서 유래됐다. 산에 올라 절밥 공양받아 본 등산객이 드물지 않을테고, 호젓한 산사에서 세속의 번뇌를 놓아 본 사람들도 한 둘이 아닐 것이다. 불법의 오의(奧義)를 깨친 선승들의 에피소드는 이문을 따지는 속세에 지친 중생들에게 언제나 통쾌하다. 평생을 삼의일발(三衣一鉢:가사 세 벌과 바리때 1개)로 수행에 정진한 청담은 도반인 성철을 "팔만대장경과도 바꾸지 않겠다"고 했다.



불교에서는 불법을 깨달아 열반에 이르는 길을 가로막는 삼독(三毒)으로 탐(貪-욕심)·진(瞋-노여움)·치(癡-어리석음)를 꼽는다. 불법이 전파된지 누천년이나 탐·진·치에 갇힌 중생의 지옥도는 여전하니, "어둠의 세상에 감로의 북을 울리라"던 석가모니의 중생제도 출사표가 무색하다. 그래도 부처님 오신 날, 오늘만이라도 자기 욕심의 크기를 헤아려보는 하루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윤인수 논설위원

경인일보 포토

윤인수 주필

isyoon@kyeongin.com

윤인수 주필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