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1년, 고객 600만명 넘고 덩치는 지방은행급… "아직 오픈중"

다양하고 안정적인 상품 공급 과제…은산분리 규제 등 완화 기대
카카오뱅크, 100만 계좌 돌파
사진은 카카오뱅크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습. /연합뉴스

1년 전 돌풍을 일으키며 등장한 카카오뱅크(한국카카오은행)가 이용자와 자산 규모에서 지방은행 수준에 올랐다.

빠르게 자리를 잡았지만 아직 상품이 다양하지 않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자본 확충 등과 같은 과제도 산적했다.

은산분리 규제 등에 갇혀서 적극 나서기 어려운 애로도 있다. 이 때문에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아직도 오픈 중'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23일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이달 15일 기준 고객은 628만명이다. 지난달 경제활동인구(2천816만1천명)의 22.3%로, 5명 중 1명은 카카오뱅크 고객이다.

케이뱅크에 이어 두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출범한 카카오뱅크는 첫날인 지난해 7월27일 하루에만 18만7천명을 유치해 화제를 모았다.

이용자는 8월 말 329만명으로 급증했고, 이후에도 월 평균 28만9천명이 유입됐다.

이와함께 자산도 지방은행 수준으로 커졌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보면 카카오뱅크 자산은 지난해 12월 5조8천418억원으로 제주은행(5조5천509억원)을 넘었다.

올해 1분기 말에는 카카오뱅크는 7조9천176억원, 제주은행은 5조6천877억원으로 격차가 커졌다.

현재 자산 규모로 카카오뱅크는 전북은행(17조5천291억원) 다음이다.

앞서 출범한 케이뱅크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빨랐다. 케이뱅크는 자산이 지난해 12월 말 1조3천511억원, 올해 1분기 말 1조5천422억원이었다.

카카오뱅크 여수신 규모도 급속 성장 중이다.

이달 15일 기준 수신은 8조5천186억원, 여신은 6조9천400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수신은 70.7%, 여신은 50.2% 뛰었다.

카카오뱅크 경영 성과도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376억원에 달한 적자를 올해 1분기 53억원까지 줄였다.

카카오뱅크는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로 보수적인 은행업계에 새 바람을 불러 일으켰다.

24시간 어디서든 계좌를 만들 수 있고, 서류 제출 없이 바로 대출도 되는 데 고객들은 열광했다.

공인인증서나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OTP) 등 각종 인증 장치가 최소화한 것도 호응을 얻었다.

금리가 높고 수수료가 낮다는 점도 기존 은행들과 차별화됐다.

카카오뱅크는 금융회사, 편의점, 지하철역 등에 설치된 모든 자동입출금기(ATM)에서 입출금·이체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해외송금 수수료는 5천달러까지 5천원만 받는다.

카카오 기업 이미지도 도움이 됐다. 캐릭터가 그려진 체크카드는 신청 후 한참을 기다려야 할 정도였다.

이제 카카오뱅크의 과제는 초기에 주목받은 '파격적인 금리와 서비스'를 대체할 새로운 강점을 찾는 것이다.

카카오뱅크 대출 금리는 더는 매우 낮지 않다. 건전성과 안정성 확보 차원에서 금리를 올려왔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에 비해 턱없이 적은 자본금으로 저금리 대출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웠다.

은행연합회 공시 기준으로 지난달 카카오뱅크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연 3.93%로 5대 시중은행과 비교해 최저가 아니다. KB국민은행(연 3.95%), KEB하나은행(연 4.91%), NH농협은행(연 3.95%)보다는 낮지만 우리은행(연 3.79%)보다는 높다.

이용 상품도 여전히 제한적이다. 올해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했으나 '은행 대출의 꽃'인 주택담보대출이 없다. 사업자 대출도 불가능하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상품 구성을 다양화하고 기업 거래를 위한 펌뱅킹을 확대하는 것이 단기 과제"라며 "모바일에서만 판매해도 문제가 없는 상품을 만들어야 하기에 시간이 더 걸린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케이뱅크와 함께 은산분리 등 규제 완화를 기다리고 있다.

강력한 대주주가 있어야 자본금을 크게 늘리고 안정적으로 상품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을 넘어 '핀테크'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투자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연합뉴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