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ING 경인핫이슈
[경기만 따라 걷는 에코여행·(9)경기만 에코뮤지엄의 의미]흔하고 평범한 것의 가치… 자연과 우리네 삶이 유물이다
공지영 기자
발행일 2018-12-04 제17면![]() |
(좌)시흥 관곡지 연꽃테마파크, 화성 전곡항.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경기창작센터·안산문화재단·미디어시흥 제공 |
200여개의 섬 해안선 528㎞ 구간
경기문화재단·지자체 함께 조성
자원 알리고 주민 손으로 재창조
![]() |
에코뮤지엄은 다른 말로 '지붕 없는 뮤지엄' 이라 불린다.
지금까지 8편의 기사를 통해 함께 걸어 온 경기만의 명소 모두가 에코뮤지엄이다.
자연과 생활터전이 웅장한 박물관건물을 대신하고, 자연 생태계와 주민들의 삶은 박물관을 구성하는 유물이다.
이러한 문화자원을 의미있게 연구하고 전시하는 역할도 지역 주민의 몫이다.
![]() |
(좌)오이도 명물 빨간등대와 방파제 전경, 대부도 '면· 사무소'.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경기창작센터·안산문화재단·미디어시흥 제공 |
쉽게 말하면 너무 흔해서, 평범해서 그 의미를 몰랐던 우리 주변의 모든 것에 가치를 깨닫는 것이다. 매일 보던 마을의 자연 풍경도, 오래된 집도, 마을에 내려오는 전설도 모두 에코뮤지엄이 될 수 있다.
경기만은 지형적으로 북쪽의 황해남도 옹진반도에서부터 남쪽의 충청남도 태안반도까지 이어지는 경기도 서해안을 가르킨다.
해안선의 길이만 약 528㎞에 달하며 20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현재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와 화성시, 시흥시, 안산시가 손을 잡고 2016년부터 '경기만 에코뮤지엄 사업'을 차근차근 조성해가고 있다.
![]() |
선감역사박물관·매향리스튜디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경기창작센터·안산문화재단·미디어시흥 제공 |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지역자원을 주민들과 손 잡고 새롭게 재창조해 많은 이들과 공유하기도 하고, 지역민 조차 알지 못했던 문화역사자원을 발굴해 생명을 불어넣기도 했다.
이를 통해 염전으로 이름을 떨쳤던 시흥의 옛 역사를 끄집어 내 갯골생태공원 안에 염전을 다시 만들어 잊혀졌던 지역의 역사를 알렸고, 조선시대 최대 간척사업 중 하나였던 시흥 호조벌의 가치를 다시 살리면서 시민들에게 도시 안에서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경기만 에코뮤지엄 사업의 또 다른 성과는 음지에 숨어있던 비극의 역사를 양지로 끌어냈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거리의 소년들이 가난하다는 이유로 끌려와 학대받았던 선감학원 피해자들과 매일 끝도 없는 전쟁을 치러야 했던 매향리 주민들의 삶을 어루만졌다.
![]() |
(좌)시흥갯골생태공원 풍경, 최승렬作 '아름다운 탄도항의 일몰'.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경기창작센터·안산문화재단·미디어시흥 제공 |
선감학원 원생들이 고통받은 기숙사의 원형이 그대로 남아있는 선감도 곳곳에 아픔의 표식을 마련해두고 함께 추모할 수 있는 공간도 조성했다.
매향리 역시 낡은 매향리 교회 옛 예배당을 복구해 매향리의 고통을 공유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그래서 경기만 에코뮤지엄을 따라 걷는 여행길은 유희만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우리 삶을 돌아보고 그 가치를 다시금 고민해보는 성찰의 여행이 된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오늘의 경인일보
오늘의 사건사고
경인일보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