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스토리

[이슈&스토리]'잊지 않겠습니다' 대일 항쟁기 유골 봉환

돌아올 수 없던 민족의 혼 '고국에서 잠드소서'

2019022801001992100096651

日 국가총동원령 후 800만 강제징용… 150만 국외 동원 추정
근근이 이어온 봉환작업, 2015년 관련 위원회 해산으로 끊겨

아태평화교류협회, 2004년부터 민간차원 봉환 활동 계속해와
진정성 주목한 北 "연구 조사 함께 할 뜻…" 평양 초대장 보내
안부수 회장 "봉환 시급… 정부 안되면 지자체라도 나서달라"

2019022801001992100096655
일본 나가사키항에서 남서쪽으로 18㎞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 우리에게는 영화 제목으로 더 익숙한 '군함도'가 그곳에 있다.

남북으로 480m, 동서로 160m 크기인 군함도는 섬 전체가 탄광이다.

 

정부 산하 '대일항쟁기 강제 동원 피해 조사 및 국외 강제 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1943년부터 1945년까지 500~800명 가량의 조선인이 이곳에 징용됐다.



평균 45도를 넘나드는 갱도 속에서 하루 12시간 이상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던 조선인들은 하나 둘 숨을 거두었다.

영양실조와 각종 사고로 숨진 조선인과 탈출을 시도하다 바다에 빠져 숨진 이들도 다수였다. 공식적으로 이곳에서 숨진 조선인은 134명으로 기록됐으나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진 숫자까지 합치면 훨씬 많은 희생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군함도는 강제 징용의 피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지만, 또 한편으로 극히 단편적인 사례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이 국가총동원령을 내린 1938년부터 해방이 된 1945년까지 800만명 가량의 조선인이 강제 징용 대상이 됐다. 그 중 국외로 동원된 조선인은 150만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은 태평양전쟁의 동부 전선이 그려졌던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병참기지가 됐던 일본 본토 곳곳의 비행장·광산·공장 등의 건설에 동원됐다. 이 중 끝내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숨진 이들이 부지기수다.

2004년 12월 17일 노무현 대통령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를 만나,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된 한인들의 유골을 조사하고 봉환해 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이듬해 5월 한일 정부의 '유골협의체'가 가동되고, 2008년부터 일부 유골에 대한 봉환이 시작됐다.

ㅌㅌㅌ
2012년 김포공항을 통해 봉환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3차 36위. /아태평화교류협회 제공

유골은 유해와는 다르다. 유해는 화장을 하지 않고 땅 속에 있는 상태인데 비해 유골은 화장해 함에 넣어 보관된 형태다. 일본은 화장이 일반적인 장례 문화여서 유골함이 보편화 돼 있다.

사찰에 보관된 유골함에는 사망자의 신상정보를 기록한 '과거장'이 있어, 해당 유골이 조선인인지 강제 동원으로 희생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유골을 국내로 들여오는 '유골 봉환'은 아픈 과거를 치유하는 일이자, 다시는 그런 비극을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다짐이기도 하다. 일본과의 합의에 따라 근근이 이어져 오던 봉환 작업은 지난 2015년 대일항쟁기 위원회가 해산되면서 사실상 끊기고 말았다.

비슷한 시기 한일 위안부 합의 등 역사의 물줄기를 과거로 되돌리는 일련의 행태가 계속되면서 정부 차원의 유골 봉환도 어려워진 것이다. 새벽이 가까울수록 어둠이 짙듯, 수 년 간 어려움을 겪던 유골 봉환 작업은 최근 들어 다시금 활기를 찾고 있다.

유골 봉환의 새로운 국면은 바로 지난해부터 진행된 남북 관계 개선에서 시작됐다. 지난 2004년부터 민간 차원의 유골 봉환 작업을 하던 사단법인 '아태평화교류협회'의 노력을 인정한 북한 측이 '대일 항쟁기'에 대한 연구와 조사를 함께 할 뜻을 밝혀온 것이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해 11월 아태평화협회와 경기도가 주최한 '아태평화 국제대회'에 대표단을 파견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남북이 하나이던 시절, 대일 항쟁이라는 공통사로 공감대를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북한은 민간 단체인 아태평화협회가 지난 15년 동안 국가 지원 없이 이 활동을 계속해 왔다는 점을 눈여겨 본 것으로 전해진다. 협회의 '진정성'이 지자체 최초로 북한 대표단이 방남하는 남북 교류의 성과로 이어진 셈이다.

(이슈앤스토리)북한 초청장
북한 측이 유골 봉환 연구·조사를 함께 할 뜻을 보이며 아태평화협회에 보낸 평양 방문 초청장.

아태평화교류협회 안부수 회장은 "지난해 12월 북한의 공식 초청을 받아 평양을 방문했다. 우리는 한일협정으로 대일 항쟁기에 대한 피해 보상을 받았지만, 아직 북한은 보상을 받지 않았다. 북측이 대일 항쟁기 연구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그런 부분이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부수 회장과 아태평화교류협회의 변상기 사업본부장은 실제로 지난해 12월 22일부터 27일까지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초청으로 평양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고양에서 열린 '아태평화 국제회의'의 향후 대책을 마련하는 협의가 진행됐다. 변변한 지원없이 자비를 들여가며 협회 살림을 꾸려온 안 회장과 변 본부장의 진심이 협회가 민간 대북교류의 선두에 설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됐다.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은 올해는 남북관계 변혁의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태평화교류협회는 반세기 이상 분단된 남북이 하나가 되기 위해선 저 먼 과거 타국에서 숨져간 조선인들의 영혼을 함께 위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안부수 회장은 "일본은 1952년부터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 유골 조사를 시작해 체계적인 작업을 진행했다. 수백 차례에 걸쳐 조사단이 해외에 파견됐고, 지금까지 130만명의 유골을 송환했다"면서 "그런데 우리는 아직까지 본격적인 유골 봉환을 시작하지도 못한 상태다. 일본 본토에서도 시간이 흐르며 각종 개발 사업이 진행돼, 하루에 수 기의 유골이 유실되는 상황이다. 지금이라도 정부가 나서야 한다. 정부가 안되면 지자체라도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이슈앤스토리)평양 옥류관 앞에서
아태평화협회 안부수 회장(왼쪽)과 변상기 사업본부장이 평양 옥류관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

미국은 미군 전사자의 유해가 세계 어디에 있든 얼마의 비용이 들든 본국으로 송환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독일은 자국민이 아닌, 자신들에 의해 희생된 유태인을 기념하는 홀로코스트 기념관을 만들었다.

베를린 브란덴부르크문으로부터 불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시내 한 가운데에는 2천711개의 콘크리트석이 가지런히 도열해 있다.

2차 대전 종전 60주년인 지난 2005년, 2천500만 유로의 비용을 들여 만든 홀로코스트 기념관은 아픈 역사를 잊지 않겠다는 그들의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아태평화교류협회가 일본에서 봉환한 177위의 조선인 유골은 천안 망향의 동산에 안치됐다.

망향(望鄕)이라는 이름에는 조국을 그리워하다 숨진 동포들의 한이 서려 있다.

아직 고향을 찾지 못하고 먼 타국에 안치된 동포들이 많다. 그들에게는 고향이, 안식을 찾을 공간이 필요하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신지영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