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 뜬다는데… 경기도 항만산업은 '열악'

300척 요트 정박 '제부마리나항' 건설 현장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대표적인 레저산업으로 꼽히는 요트산업의 메카로 풍부한 배후 수요를 가진 수도권 지역이 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내년 해상 176척, 육상 124척 등 모두 300척의 요트를 정박할 수 있는 화성시 서신면 제부마리나항 건설 현장.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평택항만공사등 자본금 한계 탓 배후단지 개발 '단독 진행' 불가능
결국 민간이 막대한 이익… 道 행정조직도 충남·인천에 비해 부족

지난 24일 찾은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의 제부마리나항 건설 현장에서는 기초 고르기 공사가 한창이었다.

바닥 준설 작업이 70% 가량 진척된 현장에서는 이날 물살로 항구 바닥이 침식되는 것을 막기 위한 호안(護岸) 설치와 방파제 블록 거치 작업이 진행됐다.

이곳 제부리 일원에는 내년 해상 176척, 육상 124척 등 모두 300척의 요트를 정박할 수 있는 마리나항이 들어선다.



도 서해안을 따라 인접한 안산시의 방아머리 마리나항도 300척 규모로 설계가 진행 중이어서 이들 도내 마리나항이 완성되면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의 국민 여가로 꼽히는 요트 산업의 메카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레저 분야의 해양 산업이 활기를 띠고 있는데 비해 전통적인 항만산업은 여전히 열악하다. 2조원 이상의 생산유발 효과가 예상되는 평택항 배후단지 2-1단계 사업은 공공이 아닌 민간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본금이 900억원대 수준인 경기평택항만공사가 사업을 오롯이 맡을 여력이 없어서다.

2-1단계 사업은 GS글로벌(45%)·GS건설(30%)등 대기업이 75%나 참여한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사업이 진행되며, 공사의 SPC 참여율은 5%에 불과하다.

결국 배후단지 개발사업이 완료되더라도 그 이익이 민간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는 꼴이 됐다.

부산항만공사와 인천항만공사의 자본금은 각각 3조·2조원대로 평택항만공사의 수십 배에 달한다. 예정된 평택항 배후단지 2-3단계 개발도 공사 측은 단독 진행하고 싶은 의욕은 있지만, 자본금의 한계로 불투명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평택항만공사 관계자는 "부산과 인천항만공사는 국가 공기업이지만, 평택항만공사는 경기도 산하 지방공기업이라 자본금의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해양·항만 관련 행정 조직 측면에서도 타시도를 앞서가지 못하거나 오히려 뒤처진 상황이다.

인근 충청남도는 해양정책과·해운항만과를 운영 중이고, 해양 산업이 발전한 부산은 항만 정책과 별개로 해양레저관광과를 별도로 만들어 해양 레저 산업에 직접 대응하고 있다.

반면, 도는 항만과 마리나 개발 등 해양레저를 총괄하는 해양항만정책과 1곳이 있을 뿐으로 근무 인력도 인접한 충남·인천에 비해 모자란 실정이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신지영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