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아라뱃길 건설은 인천의 고질적인 상습 침수지역이었던 굴포천의 홍수 예방사업에서 시작됐다. 인천 부평에서 발원해 부천과 김포시를 가로질러 한강으로 흐르는 굴포천 유역은 한강 수위가 올라갈 때마다 물난리를 겪어야 했다. 급기야 1987년 7월 대홍수가 발생하자 1991년 정부는 종합치수사업 계획을 수립한다. 이듬해 착공된 방수로 건설공사는 3년 뒤 민간자본 유치 방식의 '경인운하'사업으로 바뀌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무산됐다. 사업은 이명박 정부 때 부활했다. 정부는 2009년 사업시행 방침을 발표한 뒤 불과 2개월 뒤 착공했고, 2011년 10월 유람선을 띄웠다. 물류혁명과 해양레저 활성화란 명분을 앞세운 경인아라뱃길은 2012년 완전 개통됐으나 다 아는 것처럼 '3조원짜리 자전거길'로 전락했다.
이런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는 경인아라뱃길의 기능 재정립을 위한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의 협의가 시작됐다. 지난 2018년 10월부터 가동된 환경부의 경인아라뱃길 공론화위원회가 뱃길의 운수(運輸) 기능을 대폭 축소하고, 여객터미널과 컨테이너 부두를 문화관광·친수문화 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책 권고안을 최근 환경부에 보낸데 따른 조치다. 권고안은 뱃길의 수질을 3등급으로 관리할 것도 주문했다. 정부는 권고안을 토대로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경인아라뱃길의 최종 활용방안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안으로 관계 부처 협의를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기능 재정립에 따른 실질적인 설계에 착수한다는 대강의 시간표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관계 부처 협의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인천시의 능동적인 참여와 의견 반영이다. 본래 경인아라뱃길이 인천의 고질적 숙원사업의 해결 차원에서 태동됐을뿐만 아니라 완공된 뱃길 구간의 대부분이 인천시 관할구역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지역의 합당한 이해가 반영됨으로써 지역발전과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개발계획이 수립돼야 하는 이유다. 그러기 위해선 관계 부처 협의 초기 단계부터 인천시의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 그동안 인천시와 서구 등이 저마다 경인아라뱃길 친수공간 조성용역을 발주했으나 관계 부처와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그저 '페이퍼작업'에 그쳤던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지역실정과 잘 어우러지는 개발계획의 수립을 위해 인천시의 참여를 적극 보장해야 한다.
이런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는 경인아라뱃길의 기능 재정립을 위한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의 협의가 시작됐다. 지난 2018년 10월부터 가동된 환경부의 경인아라뱃길 공론화위원회가 뱃길의 운수(運輸) 기능을 대폭 축소하고, 여객터미널과 컨테이너 부두를 문화관광·친수문화 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책 권고안을 최근 환경부에 보낸데 따른 조치다. 권고안은 뱃길의 수질을 3등급으로 관리할 것도 주문했다. 정부는 권고안을 토대로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경인아라뱃길의 최종 활용방안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안으로 관계 부처 협의를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기능 재정립에 따른 실질적인 설계에 착수한다는 대강의 시간표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관계 부처 협의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인천시의 능동적인 참여와 의견 반영이다. 본래 경인아라뱃길이 인천의 고질적 숙원사업의 해결 차원에서 태동됐을뿐만 아니라 완공된 뱃길 구간의 대부분이 인천시 관할구역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지역의 합당한 이해가 반영됨으로써 지역발전과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개발계획이 수립돼야 하는 이유다. 그러기 위해선 관계 부처 협의 초기 단계부터 인천시의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 그동안 인천시와 서구 등이 저마다 경인아라뱃길 친수공간 조성용역을 발주했으나 관계 부처와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그저 '페이퍼작업'에 그쳤던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지역실정과 잘 어우러지는 개발계획의 수립을 위해 인천시의 참여를 적극 보장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