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저감조치 이달에만 세번째
중국측 각종 저감 정책 주장 탓
국제적 차원 대책 요구 어려워
환경공단 "우선 국내요인 집중"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잠잠했던 중국발(發) 초미세먼지가 최근 일주일 사이 또다시 기승을 부리더니, 이번에는 입자가 더 굵은 중국발 황사가 밀려오고 있다.
봄철로 접어들면서 인천의 하늘을 잿빛으로 뒤덮는 초미세먼지와 황사는 중국의 영향이 명확하지만, 국제적 차원에서 뚜렷한 해법을 마련하기 어려워 국내적인 대책만으로는 백약이 무효한 상황이다.
이달 들어 세 번째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15일 인천 지역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는 오후 4시 기준 58㎍/㎥로 내내 '나쁨'(36㎍/㎥ 이상) 수준이었다.
초미세먼지보다 입자가 굵은 미세먼지(PM10) 농도는 인천에서 이날 오전 '보통'(31~80㎍/㎥) 수준이었다가 갑자기 치솟으면서 오후 4시 기준 80㎍/㎥로 '나쁨'(81㎍/㎥ 이상)에 근접했다.
이날 굵은 미세먼지 수치까지 올라간 것은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쪽으로 중국발 황사가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기상청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이어진 고농도 초미세먼지 상황은 15일 밤부터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16일부터 17일까지 수도권은 중국 내몽골 지역과 고비사막에서 발원한 황사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중국 베이징은 올해 처음으로 15일 황사로 인해 가시거리가 1㎞ 이하로 떨어지는 등 '황사 황색 경보'를 발령했다. 과거 황사는 '흙먼지'에 불과했지만, 최근의 황사는 중국을 거치면서 중금속 등을 품어 해롭다.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는 발생 원인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중국에서 주로 유입되는 대기 오염원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초미세먼지는 중국의 공장 가동과 난방 등 경제 활동 영향이 크고, 내몽골과 사막에서 발원하는 황사는 자연 발생에 가깝다.
고농도 초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국내적 노력은 정부 차원에서 석탄발전·사업장 가동 단축,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등으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인천시 자체적으로도 도로 재비산먼지 청소 확대, 연근해 선박 감속 운항, 항만·공항 장비 운행 제한 등을 추가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중국 정부 측에 더욱 적극적인 협조를 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중국 측이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고, 실제로 다소 개선된 자료를 한국에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강희 한국환경공단 기후대기본부장은 "중국이 대기 오염 물질 배출량을 줄이고 있어 국외 대책을 추가로 마련하기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며 "우선 국내 요인을 더욱 줄이는 데 집중하면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