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지역관서로 인해 송부파출소에서 운용
도보 순찰 인력 확보 위해 소규모 관서 개편
치안 공백 줄이는 조치 불구 대상 지역 반발
“단독 파출소 필요” 주민 반대 현수막 게재
경기남부 지역 지구대·파출소 9곳이 중심지역관서로서 통합 운영(7월29일자 7면 보도)을 시작하자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군포 대야동 곳곳엔 ‘대야파출소 폐쇄 이전 강력 반대’ 현수막이 게시됐다. 이곳은 ‘중심지역관서제’가 시행되는 경기남부 지역 9곳 중 한 곳이다. 대야미역 앞에 위치한 대야파출소는 이날부터 3㎞ 거리에 위치한 송부파출소를 중심관서로서 두게 된다. 이에 따라 대야파출소의 인력과 장비 등을 모두 송부파출소가 운용하게 된다.
경찰은 서현역 흉기 난동과 같은 무차별 강력 범죄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려면 도보 순찰 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중심지역관서제 시행 대상인 송부·대야파출소 모두 소규모 파출소라 개별 관서에선 도보 순찰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송부파출소를 중심으로 인력 운용의 유연성을 키워, 치안 공백을 최소화하고 대응력을 높인다는 취지다.
대야동을 비롯해 서현지구대(분당), 영통지구대(수원남부), 고촌파출소(김포), 단대파출소(성남수정), 부곡파출소(안산상록), 박달지구대(안양만안), 계남지구대(부천원미), 월곶파출소(김포)가 중심지역관서제 시행 대상에 해당한다.
하지만 대야동 주민들은 반대한다. 1개 파출소가 기존 대야동 일대만 관할하던 체제에서 타 지역을 관할하던 파출소가 대야동까지 통합해 담당하는 체제로 개편되면 지역 치안 업무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애초 왜 대야동이 중심지역관서 대상이 됐는지도 의아하다는 반응에 무게가 실린다. 이날 지역 주민단체 협의회가 진행한 관련 설명회에서도 이 같은 항의 섞인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당초 대상으로 검토됐다가 주민들의 반발 여론이 거셌던 일부 지역의 경우 시행이 취소된 점도 반발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대야동 한 주민은 “대야동은 수리산과 반월호수 등이 있어 외지인들의 방문이 잦은 곳이다. 또 도심과 달리 야간시간대엔 매우 컴컴해지고 돌아다니는 사람도 없어 밖을 다니기가 불안하다”며 “이곳이 사건, 사고가 다른 곳보다 적다고 하지만 아직도 강호순 사건을 기억한다. 파출소의 단독 운영 여부는 주민들이 얼마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지와도 직결된다. 향후 대야미지구 개발이 예정된 지역이기 때문에 치안 수요는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왜 우리 지역이 대상이 됐는지 모르겠다. 최소한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라도 거치고 실시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대야동을 지역구로 둔 성기황 경기도의원과 신금자 군포시의원도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대상을 정하고 시행한 것은 옳지 않다”고 했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중심지역관서를 운영한다고 해서 해당 파출소 조직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담당하는 인력 규모 등은 기존과 동일하고 관리 주체만 바뀔 뿐이다. 오히려 다각화되는 치안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지역 주민들에게 오해가 없도록 충실히 설명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