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극복할 수 있습니다

[당뇨, 극복할 수 있습니다·프롤로그]인천지역 당뇨병 실태

단순한 병이 아닌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봐야
   
▲ 그래픽/박성현기자

14일 국제연합(UN)이 정한 세계 당뇨병의 날(World Diabetes Day)을 맞아 짚어 본 인천지역 당뇨병 관련 통계가 위기감을 갖게 한다.

최근 발표된 통계에서 인천지역의 당뇨병 사망환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왔다. 인천 지역의 당뇨병 사망 환자 수는 10만명당 21명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은 10만명당 16.3명이었고, 인천과 같은 수도권인 서울의 당뇨병 사망 환자는 10만명 당 15.2명, 경기도는 19.2명으로 나타났다.

사망환자수 10만명당 21명꼴 16개 시·도중 최다
구도심 동·중·남구 높아… 유병률도 전국 3번째
인식수준낮아 치료 뒷전 지자체·정부 관리 '절실'

인천의 당뇨병 사망 환자 수가 많다는 것은 환자 개인이나 정부 차원에서 당뇨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지역 전반에 나타난 사회적 문제가 당뇨병을 통해 투영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당뇨병을 관리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가 각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당뇨병의 발생원인은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도 하다.



특히 인천에서는 이른바 구도심으로 불리는 지역에서 높은 당뇨병 사망률을 보였다. 동구가 31.3 명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중구(30.5명), 남구(30.2명)가 이었다. 이 같은 수치는 지역별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작업을 거쳐 집계된 것이다.

   

최근 대한당뇨병학회가 내놓은 보고서에서는 인천 시민의 11%가 당뇨병 환자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3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지난 8일 내놓은 '2012 한국인 당뇨병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0년 기준으로 인천시의 만 30세 이상 성인 인구의 당뇨병 유병률은 11%로, 울산광역시(12.3%), 전라북도(11.2%)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전국 당뇨병 유병률은 10.1%였다.

학회는 이날 보고서에서 전국적으로 '당뇨대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통계를 봤을 때 당뇨대란은 인천시에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국 당뇨병 유병률은 1971년 1.5%에서 2001년 8.6%, 2005년 9.1%, 2010년 10.1%로 증가추세에 있다. 학회는 2050년의 전국 당뇨병 환자는 현재의 두 배에 달하는 591만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당뇨병의 전 단계인 공복혈당장애 유병률도 전국적으로 1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유병률과 합쳐서 계산할 경우 한국인 10명 중 3명이 고혈당의 위험에 노출된 셈이다.

더 큰 문제는 당뇨병 환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당뇨병에 대한 인지 수준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 당뇨병 환자 가운데 27%는 자신이 당뇨병 환자인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4세 사이 젊은 당뇨병 환자의 46%가 자신이 당뇨병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이 같은 이유 등으로 전체 당뇨 환자 가운데 38%는 치료를 받지 않고 있었다. 자신이 당뇨를 가지고 있는지 모르거나, 알더라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를 받지 않는 비율이 높은 상황인 것이다.

   
▲ 세계 당뇨의 날을 하루 앞둔 13일 가천대 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앞에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희망의 메시지들이 빼곡히 붙어 있다. /임순석기자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합병증이 오는 당뇨 환자수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당뇨 합병증으로는 실명, 신부전, 심혈관계 질환 등이 올 수 있다. 문제는 합병증이 나타난 뒤에는 치료가 어렵다는 점이다. 결국 당뇨가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

당뇨는 큰 사회적 비용이 따라올 수밖에 없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만성 신부전증 환자의 총 진료비는 최근 5년간 47% 넘게 증가했다. 만성 신부전증의 약 70%는 당뇨병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통계를 종합해보면 건강보험 재정의 약 20%가 당뇨로 인해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합병증 환자의 증가는 건강보험재정뿐만 아니라 이들을 돌봐야 하는 가족, 지역사회에도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가천대 길병원 김광원 교수는 "당뇨는 하나의 병이 아니라 사회현상으로 봐야 한다"며 "특히 인천지역의 당뇨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있지 못해 심상치 않은 통계가 나타나고 있다. 당뇨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는 만큼 환자 개인과 지자체,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뇨병은 극복할 수 있는 질병이다. 만성질환이지만 꾸준히 관리하면 정상인에 못지 않은 생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환자 개인의 건강은 물론 사회의 건강을 위해서도 당뇨 극복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홍현기기자

가천대 길병원·인천시·경인일보 공동기획

경인일보 포토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홍현기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