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톡

[이대연의 영화 톡 세상 톡] ‘감기’ 바이러스의 공포와 경계 짓기

정부의 비밀주의·타자화 행위

메르스사태 지금 현실과 닮아
976835_538737_5909
영화계가 비상이다. 주말 관객 수는 20% 가까이 떨어졌고 이달 11일 개봉 예정이었던 ‘연평해전’은 24일로 개봉일을 연기했다. 애초 10일로 예정되었던 ‘암살’의 제작보고회가 21일로 연기되는가 하면 각종 마케팅 행사들도 취소 내지는 연기되고 있다. 메르스 때문이다. 메르스 감염 공포가 확산되면서 사람들이 모일 수 밖에 없는 극장가에 난데없는 한풍이 몰아닥친 것이다.

이런 가운데 특이한 현상이 일어났다. 2013년 개봉했던 영화 ‘감기’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심지어 주요 포털 사이트의 평점이 뒤늦게 올라가는 기현상까지 보였다. 감기는 개봉 당시 30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지만 100억원을 웃도는 제작비에 비하면 그리 좋은 흥행성적은 아니었다. 감기는 감염속도가 초당 3.4명에 이르는 치사율 100%의 바이러스가 대한민국에 발병하면서 벌어지는 극단적 사태를 그리고 있다.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의 진원지는 내부에 있다. 우리 신체 내부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잠복하고 있지나 않을까, 우리 중 누군가가 감염되어 있지나 않을까 하는 의심이 불안감을 유발한다. 자기규정 또는 정체성에 대한 불안감이다. 그런데 영화 속에서 바이러스는 밀입국한 외국인으로부터 전염된다. 감염된 외국인이 분당으로 들어오면서 지역감염으로 확산하고 정부는 도시폐쇄를 감행한다. 안과 밖의 경계 짓기를 통해 우리 내부의 도시는 외부가 된다. 타자화인 셈이다. 내부의 혼란이 외부에 대한 공포로 치환되는 것이다.



영화는 분당으로 설정된 지역감염 도시민들이 폭동을 일으키며 절정을 이룬다. 그들이 타자화될 때 그들에게 정부 또한 타자화된다. 정부가 국민을 속이고 기만할 때 그것은 스스로를 경계 짓고 타자화시키는 행위이다. 폭동에 참여한 시민들의 분노는 정부를 향하고 정부는 그들을 향해 총부리를 겨눈다. 과장되고 극단적이지만 현재 우리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지 않나 싶다. ‘감기’에 대한 갑작스러운 인기는 아마도 메르스 감염 자체의 유사성에 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정부가 그간 보여준 경계 짓기와 타자화의 과정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이대연 영화평론가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