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3개월 버티는 경우 드물어
20대 대신 40대 주로 뽑아
생산직 근속년 너무 짧아
인천 남동인더스파크내 한 자동차부품 업체의 노무관리 담당인 김상지 차장은 채용면접 업무가 일상이다. 조금 과장된 표현이긴 하지만, 직원들의 이직이 잦은데다 취업 희망자 가운데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채용하는 것도 쉽지 않아서다.
김 차장은 "20대에서 30대 초반은 대개 3개월 이상을 근무하는 경우가 드물다"면서 "그래서 비교적 책임감이 강한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까지의 인력을 주로 채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근로자 30명 가량을 채용했지만 지금은 한명도 없다. 내국인과 임금수준이 비슷해진데다 언어소통 문제까지 있어 외국인근로자 채용에 따른 장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특성화고 졸업생 역시 인력충원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취업생의 90% 가량이 대학으로 진학하거나 다른 직종으로 전직한다고 한다. 김 차장은 "지난해 채용한 특성화고 졸업생 8명 가운데 현재 2명만 남아 있다"면서 "학교에서와 달리 현장에서는 연장 및 휴일근무 등 잔업이 계속되다 보니 이런 환경에 적응을 하지 못해 회사를 그만두고 있다"고 전했다.
직원이 300명 가량인 남동인더스파크내 한 금속표면처리 업체의 노무담당 이유건 차장은 "생산직의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개월이 채 안될 정도"라면서 "더 큰 문제는 젊은 기능인력이 제때 충원되지 않는 것인데, 특히 중간 허리층에 해당하는 경력 4~8년차가 필요인력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고민을 털어놨다.

이런 현상은 통계로도 나타나고 있다.
인천상공회의소가 지역소재 804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필요 인력 및 구인 애로 조사'결과를 보면, 기업들은 생산인력(61.1%)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다음은 연구개발(11.9%) 인력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72.6%)에서 특히 제품생산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 중소기업의 인력부족률 역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중소기업청이 전국 주요도시의 중소기업인력실태를 조사한 보고서(2008)를 보면, 인천지역 기술직 및 준전문가 부족률은 8.69%로 전국평균(2.89%) 보다 3배 가량 됐다. 기능직과 단순노무직 역시 각각 5.66%와 4.78%로 전국평균인 3.69%와 2.98%를 크게 웃돌았다.
/김도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