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5 재보선 패배이후 여권내 갈등의 초점이 시시각각 바뀌면서 후보
조기가시화→당정쇄신→동교동계 표적론→최고위원 사퇴→전당대회 시기 등
으로 빠른 템포의 반전을 거듭하고 있다.
 10·25 재·보선 직후엔 “민심이 당을 떠났다”는 현실인식이 급속히 퍼
지면서 '새비전, 새 인물'을 내세우자는 소위 '깃발론'이 등장, 후보 조기
가시화 논의가 봇물터지듯 쏟아져 나왔다.
 곁가지로 내년 3, 4월께 대선 후보와 당 대표 혹은 총재를 동시에 뽑는 '
원샷' 조기 전당대회론이 득세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다가 김근태 정동영 최고위원 등 일부 최고위원과 개혁 중진·소장파
들이 “후보 조기가시화 논의는 당정쇄신 요구를 덮기위한 호도책”이라고
반발, 지도부를 압박하자 '포커스'는 다시 당정쇄신론으로 빠르게 옮겨갔
다.
 급기야 초선의원 모임인 '새벽21'이 특정인사를 실명으로 거론하며 퇴진
을 요구하고 5개 개혁그룹이 총체적 쇄신을 촉구하는 연대성명까지 발표하
면서 당정쇄신론이 동교동계 표적론으로 발전, 개혁파와 동교동계가 정면충
돌로 치달았다.
 그러나 1일 정동영 최고위원 등 일부 최고위원의 사의 표명에 이은 2일
최고위원들의 일괄사의 표명으로 이날부터 당 지도부 공백을 메우기위한
당 대표, 최고위원 경선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시기 등 정치일정 논의가 들
불처럼 번졌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도대체 당이 어디로 가는 것이냐”는 탄식과 우려
가 터져나오면서 “사의가 너무 성급하게 나와버려 당이 어려워졌다”는 지
적도 나왔다.
 특히 이런 혼란상이 '목표를 잃고 나침반없이 격랑을 헤쳐 나가는 낡은
동력선'에 비유되기도 했다.
 강경 개혁파 의원들은 당과 국정운영에 실질적인 책임이 있는 동교동계
일부 인사의 책임론을 들어 최고위원들의 일괄사퇴 표명을 긍정 평가하면서
도 “그게 본질이 아니다”면서 정치일정 논의로 초점이 옮겨지는데 대해
한숨을 내쉬었다.
 하지만 일부 개혁 중진과 소장파는 현실적 가능성을 떠나 지도부 물갈이
도 쇄신의 하나라는 점에서 “실세 대표체제로 가는 조기전대도 괜찮은 것
아니냐”는 엇갈린 반응을 보여 '좌표 잃은' 당의 현주소를 그대로 반영했
다.
 한 의원은 “당 지도부 공백을 메우기 위한 1월 전대는 현재 정기국회 회
기중이고 사실상 대선후보 경선장이 될게 뻔하며 시간상 지방선거 이후에
후보경선 전대를 또한차례 치르는 논란거리만 제공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
였다.
 당의 한 관계자는 “논점 전환의 소용돌이에서 당정쇄신론은 희석됐고 쇄
신에 앞선 정치일정 논의 우선론자와 후보 조기가시화론자 등의 입지가 넓
어졌다”고 해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