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1201000503700026071.jpg

주변을 둘러보면 만성적인 무릎통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움직임이 많은 무릎관절은 다른 관절에 비해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편이다. 또한 무릎관절은 뼈와 인대, 연골 등 여러 조직들로 이루어진 만큼 통증의 원인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중에서 '반월상 연골판'이라 불리는 연골 손상이 무릎통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경골과 대퇴골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로써 관절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반월상 연골판은 부드러운 조직으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 그렇지만 무릎 관절이 과도하게 비틀리거나 무릎에 과부하가 반복된다면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될 수 있다. 활동량이 많은 젊은 층에서는 운동 중 부상으로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중·장년층이 넘어갈수록 퇴행성변화가 원인이 돼 작은 충격에도 파열이 나타나게 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평소에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자주 하거나, 무거운 짐을 나르는 등 무릎에 과하게 부담이 가는 행동을 반복하는 것도 반월상 연골판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손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물리치료를 하고, 주사를 맞는 등 비수술적 방식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반월상 연골판이 심하게 찢어졌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월상 연골판의 수술은 파열 양상 및 파열 범위, 파열 위치 등에 따라 손상된 조직을 봉합하거나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 방식을 거친다. 이외에도 파열을 오랜 기간 방치해 반월상 연골판 조직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반월상 연골판을 이식하는 이식술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