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사건 관련 안전문제 우려 지속

도교육청, 작년 200명 등 증원 확대

특수교육원 건립 관리방안 모색도

최근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흉기난동 사건을 일으킨 가운데 특수교육지도사가 학생들의 위험에 노출돼 보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특수교육지도사는 특수교육 지원인력으로 특수교사를 도와 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이 원활하게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

도교육청은 ‘경기특수교육 활성화 3개년 계획’을 세우고 지난해 특수교육지도사 200명을 증원하는 등 특수교육 지원인력을 늘리고 있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이날 청주 사건과 관련해 “궁극적으로는 통합학급에도 특수교육지도사 등의 인력을 배치해야 (교사들이) 안전하고 특수학생들의 교육에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 교육감도 특수교육지도사가 더 늘어나야 이번과 같은 사건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지난해 특수교육 대상자로 입학한 A군은 지난 28일 오전 8시 33분께 청주의 한 고교 1층 복도에서 교장, 환경실무사 등 학교 관계자 3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중상을 입힌 혐의를 받는다.

청주 사건처럼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물리적 공격은 언제 나타날지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특수교사와 마찬가지로 특수교육지도사도 항상 위험에 처해있다.

한 특수교육지도사는 “꼬집힘, 깨물림, 뇌진탕 등 아이들의 돌발 행동으로 인해 크고 작은 부상을 입는 게 일상”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외부 정신과 병원을 통해 치료가 필요한 학생들에 대한 치료를 하면서 돌발 상황을 억제하고 있다”며 “특수교육원을 건립해 학생들의 행동 문제를 살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형욱·마주영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