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의 지옥, 40년의 침묵… 영원히 흙이 된 소년들

 

국가권력에 의한 부랑아 정책 희생자들

분묘 확인된 133기중 유해 발견 67기뿐

세월 지나 아무것도 나오지 않은 절반

선감학원 아동 유해매장 추정지로 확인된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산37-1에서 분묘 155기에 대한 유해 발굴 작업이 실시 되고 있다. 이곳 분묘 가운데 67기에서 537점의 유해가 출토됐다.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선감학원 아동 유해매장 추정지로 확인된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산37-1에서 분묘 155기에 대한 유해 발굴 작업이 실시 되고 있다. 이곳 분묘 가운데 67기에서 537점의 유해가 출토됐다.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선감학원 사건은 일제 강점기인 1942년부터 1982년까지 약 40년간 부랑아 교화라는 명분 아래 4천700여명의 소년들에게 강제노역, 가혹행위, 구타, 암매장 등 인권을 유린했던 사건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2022년 10월 진상규명 결정 당시 선감학원 사건을 ‘공권력에 의한 아동인권침해’로 결론 내리고, 선감학원 운영 주체인 경기도와 위법적 부랑아 정책을 시행한 국가를 대상으로 선감학원 사건 피해지원 대책과 희생자 유해발굴 등을 권고했다.

선감학원 공동묘역 유해발굴 사전절차로 분묘 일제 조사 안내문과 분묘번호가 곳곳에 꽂혀 있다.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선감학원 공동묘역 유해발굴 사전절차로 분묘 일제 조사 안내문과 분묘번호가 곳곳에 꽂혀 있다.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현재 해당 부지에는 과거 아동숙소, 관사, 우사, 염전창고 등으로 사용된 건물 11개동이 남아 있다. 경기도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해발굴 사전절차인 분묘 일제 조사와 개장공고 등을 지난해 4~7월 진행했고, 같은 해 8월 8일 개토행사를 개최한 이후 유해발굴을 실시했다.

유해발굴 작업자들이 개토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유해발굴 작업자들이 개토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선감학원 아동 유해매장 추정지로 확인된 선감학원 공동묘역에서 유해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 분묘 155기 가운데 67기에서 유해를 발견했다. 발굴 대상지역은 안산시 선감동 산37-1번지 총면적 2천400㎡의 묘역에 일제 조사 등으로 확인된 155기 분묘다. 발굴을 거친 결과 분묘로 확인된 것은 133기였다. 133기의 분묘 중 유해가 출토된 분묘는 67기였으며, 이 중에서 유해는 537점을 수습했다. 치아가 가장 많았고, 일부 대퇴골, 상완골(위팔뼈)도 출토됐다.

98호 분묘에서 출토 된 유해 및 유품. /경기도 제공
98호 분묘에서 출토 된 유해 및 유품. /경기도 제공

발굴된 유해는 전문기관의 감식을 거쳐 사망 연령이 30세 이하로 판명·확인된 유해에 대해서는 화장 후 선감동 공설묘지 내에 안치할 계획이다. 분묘 중 유해가 나오지 않은 66기는 4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난 가운데 토양이 습하고 산성도가 높아 유해가 부식돼 발굴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현정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 유해는 대부분 10대 아동으로 추정된다. 남은 절차도 책임 있게 마무리해 국가권력으로부터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실추된 명예를 온전히 회복시켜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랑아 교화라는 명분으로 4천700여 명의 소년들의 인권을 유린했던 선감학원 과거 아동숙소 건물.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부랑아 교화라는 명분으로 4천700여 명의 소년들의 인권을 유린했던 선감학원 과거 아동숙소 건물. 사진/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