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중심서 항공 신산업 분야로… 산업구조 부가가치 키우나

 

市, 영종도 밖까지 산업 확대 계획

공약 이행땐 항공 MRO 육성 중요

정부 지원 토대 기업 유치탄력 기대

공항 주변 국제적 관광지 탈바꿈도

전문가 “규제완화·예산 지원 필요”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공항경제권이 조성되려면 항공 MRO(보수, 수리, 정비) 산업 육성이 가장 중요하다. 인천국제공항에서 ‘터그카(tug car)’가 비행기에 적재할 화물을 옮기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공항경제권이 조성되려면 항공 MRO(보수, 수리, 정비) 산업 육성이 가장 중요하다. 인천국제공항에서 ‘터그카(tug car)’가 비행기에 적재할 화물을 옮기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2001년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물류, 관광, 정비, 첨단 제조, 항공연구·개발(R&D) 분야 산업이 집적화한 경제권이 영종국제도시에 형성됐다.

인천시는 이 같은 성과가 공항이 자리한 영종국제도시에만 머물지 않고, 인근 지역까지 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공항 연계 산업의 무한한 확장성을 토대로 ‘공항경제권’을 미래를 견인할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 인천시의 목표다.

항공산업 전문가들은 ‘인천공항경제권’을 새롭게 구축하겠다는 대통령 공약을 이행하려면 인천을 항공 MRO(보수·수리·정비)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MRO 산업은 세계 시장 규모만 2023년 기준 939억달러(129조원)를 넘어서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MRO산업 생태계 기반이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도 항공MRO 클러스터인 ‘인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조성을 추진했지만 사업 속도가 더뎠다. 문재인 정부 당시 ‘우주항공 클러스터’ 유치를 두고 경남 사천과 경쟁을 벌이면서 지역 간 갈등이 증폭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대선 과정에서 “사천은 군용기와 부품 제조 중심으로, 인천은 해외 복합 항공 MRO 중심으로 특화해 두 도시를 세계적 항공 MRO 산업 거점으로 키우겠다”고 밝히면서 정부 지원을 토대로 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인천공항에 항공 MRO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인천지역 항공기업 성장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인천지역에는 400여개의 항공기업이 있는데, 영세한 업체가 많다. 항공 MRO 클러스터가 활성화하면 이곳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주변 업체들도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인천의 산업 구조가 자동차 중심에서 항공 관련 신산업 분야로 확장할 경우 부가 가치가 배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인천공항공사와 인천지역 항공기업들이 연계해 해외로 진출하는 것도 관련 산업 육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인도네시아 바탐국제공항, 필리핀 마닐라국제공항 건설·운영권을 확보한 인천공항공사는 국내 기업과 함께 현지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공항산업은 전자, 통신, 제어, 항공 기계 등 첨단 기술의 복합체다. 이와 연관한 인천기업이 인천공항공사와 동반 진출하면 지역 경제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관련 업계는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공항 주변을 국제적인 관광지로 탈바꿈시키는 것도 공항경제권 구축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인천공항 주변에는 파라다이스시티·인스파이어 등 카지노 복합 리조트와 호텔, 골프장 등이 들어서는 등 관광 기반시설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다. 2026년에는 미술품 수장고를 개장할 예정이며, 이와 연계한 미술 산업 시설도 유치하겠다는 게 인천공항공사의 계획이다.

인천공항 5단계 사업 또한 공항경제권 완성과 항공 산업 발전을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할 프로젝트로 공항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인천공항 5단계 사업은 제3여객터미널과 제5활주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지난해 12월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2배로 확장하는 4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인천공항 연간 여객 수용 능력은 1억600만명으로 늘었지만, 2033년이면 여객 수가 이를 넘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서둘러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항공우주산학융합원 이희정 부원장은 “민간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인천공항경제권 활성화를 조속히 실현하려면 관련법을 만들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정부에서는 항공 MRO 산업 인력 양성과 항공 관련 기업 육성을 위한 예산을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