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 후 “선거일에 개헌 투표” 주장

李 제안, 민주당 반발에 ‘대선 이후’ 선회

“개헌 시기, 정당·시민사회 등 논의해야”

우원식 국회의장이 11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6.11 /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11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6.11 /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은 11일 “개헌안을 꺼냈을 때 내란세력을 극복하자는 국민 여론이 더 높았다”며 개헌 추진 시기를 번복한 이유를 밝혔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아시다시피 (제가) 지난 4월 대통령 파면 직후 개선을 대선 과정에 함께 하자고 했다. 여러 정당의 지도부와 소통한 바도 있는데 개헌보다는 내란세력을 극복하자는 국민 여론이 굉장히 높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우 의장은 지난 4월6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당시 우 의장은 “위헌·불법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개헌의 시급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크다”며 “헌재 선고로 국가적 혼란은 일단락됐지만, 시대 변화에 뒤처진 낡은 헌법의 한계가 사회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제약한지도 오래”라고 했다.

또한 “새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기 전에 물꼬를 터 권력을 분산해 국민주권, 국민통합을 이뤄내라는 시대적 요구, 개헌 방향성이 가장 명료해진 지금이 성사시킬 적기”라고 역설했다.

하지만 당시 대선 후보이던 이재명 대통령이 ‘민주주의 파괴를 막는 것이 긴급하다’고 하는 등 민주당이 반발하자 “대선 이후로 본격적인 논의를 이어가자”고 입장을 선회했다.

우 의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개헌 의지는 매우 확고하고 분명하다. 저와 이야기한 것처럼 공약을 통해 개헌의지를 밝혔다”며 “지금은 정부가 시작하는 단계다. 인수위 없이 시작해 국정안정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개헌 논의는 시기상조임을 밝혔다.

그러면서 “개헌 논의는 각 정당과 시민사회, 정부와 논의를 거쳐 시기를 잘 조절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회의장도 논의를 모아가는 과정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 의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의장으로서는 대화와 중재, 국회법 절차라는 두 축으로 국민에게 이로운 방향을 찾으려고 여러 노력을 해왔다”며 “국회 권한 기능 강화, 국회 경호 경비체계 개편 등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더 단단히 하는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