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구리시가 다음 지방선거 현안인 ‘구리·서울편입’에 대한 효과분석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각 권역별 설명회를 시작했다.
구리시는 11일 시청 대강당에서 임성은 서경대 교수의 발표를 통해 구리·서울편입의 ‘이점’을 시민들에게 홍보했다.
이번 설명회는 용역 준공일인 12일까지 3번 진행된다.
임 교수는 행정·재정·경제·교통·복지·보육·교육·환경 등으로 분야를 나눠 혜택이 늘어난다고 제시했다. 공무원 1인당 담당 시민수가 경기도는 1천314명인데 비해 서울시는 561명에 그치고, 면적도 서울시보다 경기도가 훨씬 넓어 행정서비스의 질이 상승할 것이라 전망했다.
같은 논리로 1인당 세출이 서울이 541만여원인 반면 경기도는 295만원에 그쳐 서울편입 혜택이 더 높고, 국고보조금 등의 감소를 감안해도 철도와 버스 등의 행정을 서울시로 이관하면서 절감하는 세출액이 커서 연 877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임 교수는 특히 경기도와 서울간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거쳐도 잘 해결이 되지않는 버스노선 신설, 철도 연결 등이 하나의 지자체로 통합되면 수월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임 교수는 경기도와 행정안전부, 국회 등의 동의를 얻는 절차에서는 매우 기초적인 기본계획수립 단계에 있는 상태라고도 지적했다. 임 교수는 ‘실현가능성’을 묻는 시민 질문에 “내년 지방선거 이전에는 쉽지 않다”고도 답했다.
더불어 서울시 입장에서는 이점이 크지 않아 구리시 편입이 서울 메가시티화의 출발점이 돼야한다고도 조언했다. 구리시뿐만 아니라 김포시 등 면적이 넓은 곳이 함께 편입될 때 서울시가 매력을 느낄 수 있다는 의미다.
이날 백경현 시장은 설명회에서 “시장은 시민의 의견에 따라 행정을 추진할 책무가 있다. 시민 염원을 외면하지 않고 끝까지 함께하겠다”면서 서울편입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한편 구리시의회 권봉수(민) 의원은 전날 총무과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시의회가 이 용역과 관련된 비용을 승인했을 때의 취지와 요역과정의 파생적 효과에 대해서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면서 “연구용역을 악용하려고 용역을 했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고 설명회 개최를 비판했다.
구리/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