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교통주권 확보’

구도심 노면 전차·3호선 신설

GTX B 추진·서울 5호선 연장

이재명 대통령의 20개 가까운 교통 공약 대부분이 철도와 관련된다. 사진은 위례선 트램 공사현장. /경인일보DB
이재명 대통령의 20개 가까운 교통 공약 대부분이 철도와 관련된다. 사진은 위례선 트램 공사현장. /경인일보DB

산업도시이자 우리나라 관문 도시로서 인천의 발전은 경인전철과 경인고속도로 등 교통망 구축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최근 인천 경계 확장에 따른 교통 소외지역 발생, 구도심-신도시 간 교통 격차로 인해 새로운 교통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반영하듯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인천 10대 공약에 ‘사통팔달 교통혁명으로 인천의 교통주권 확보’를 담았다.

이 대통령이 내세운 인천 교통 공약을 보면 내부 교통망 확충으로 인천 시내를 촘촘하게 연결하는 한편, 서울·경기 등 다른 지역과 인천을 잇는 광역교통망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내부 교통망으로는 구도심 노면전차(트램) 건설과 인천 3호선 신설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광역교통망으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조속 추진과 D·E노선 신설, 서울 5·7호선과 같은 다른 지역 기존 노선을 인천까지 잇는 연장선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이 인천 군·구별 공약으로 제시한 사업을 보면, 20개에 가까운 교통 공약 대부분이 철도와 관련된다. 우리나라 최초 철도인 경인선이 놓이면서 인천이 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만큼, 인천 도시철도와 광역철도 구축을 통한 이 대통령의 ‘교통혁명’이 또다시 인천을 국제도시로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다만 새로운 교통망 구축은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재명 정부는 인천의 지지부진한 교통 현안들이 가시적 진전을 보이도록 재원 확보 방안 검토, 노선 협의 등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이 대통령이 내놓은 인천 교통 공약은 자칫 기존 숙원 사업을 재탕한 ‘선심성 공약’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