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기류 탄 청주공항에 순위 밀릴라 ‘한숨’

 

수원 군공항 이전 공약 담겼지만

중부권 거점 공항 약속에 안갯속

경기도는 “별개의 사안” 선 그어

수원 군공항 전경 모습. /경인일보DB
수원 군공항 전경 모습. /경인일보DB

수원 군 공항 이전은 물론, 경기국제공항 조성도 꽉 막혀있던 와중에 새 정부 출범이 의외의 활로가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재명 대통령의 지역 공약 중 수원 공약에 ‘수원 군 공항 이전 및 이전지 개발 지원’이 담겨서다. 대선 공약인 수원 군 공항 이전과 맞물려 경기국제공항을 함께 추진할 명분이 생겼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 대통령이 공공 갈등을 조정하는 담당 비서관을 대통령실에 두겠다는 점도, 군 공항을 둘러싼 수원과 화성 등의 오랜 지역 갈등을 완화할 요인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수원 군 공항은 현재 공군 제10전투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는데, 도시 개발이 본격화된 이후부터 수원 군 공항 이전 요구가 줄기차게 이어졌다. 소음·진동 피해에 따른 주민들의 불만이 크고 인근 지역 개발이 낙후됐다는 이유 등에서였다. 다만 타 지역으로 이전하려고 해도 강한 반발에 후보지 선정조차 번번이 난항을 겪었다.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해묵은 찬반 갈등 속 새롭게 등장한 단어가 ‘경기국제공항’이다. 경기도 인구의 증가 추세와 맞물려 인천·김포공항의 여객·화물 수요가 10년 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만큼, 해당 수요를 분산할 새로운 공항이 경기도권에 필요하다는 게 새로운 논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관적 관측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 대통령이 충북지역 공약 첫 머리에 청주공항 활성화를 내건 점 때문이다. 청주공항은 현재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이 병행 운영되고 있는 곳이라 활주로 사용에 제약이 있다. 이에 민간 활주로를 추가 개설해 활성화를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청주공항을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게 공약의 주요 내용이다. 당장 새 정부 출범 이후 충청북도는 물론, 공항과 인접한 지자체들 중심으로 서명 운동에 나서는 등 청주공항 민간 활주로 신설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주공항 활성화와 맞물려, 공항과 연결되는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조성이 함께 공약된 점도 긍정적 요인이다. 청주공항 활성화는 수도권 연결이 필수조건이어서, 경기국제공항의 필요성과 맞물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 때문에 정부의 추진 우선순위에서 경기국제공항이 밀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지만, 경기도에선 “별개의 사안”이라며 선을 긋고 있다.

수원 군 공항 이전 및 경기국제공항 조성은 이르면 올 연말 윤곽이 드러날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1)에서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