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2년 1월 SK하이닉스가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일대 415만㎡에 반도체클러스터 단지조성에 들어간 이후 이달 현재 52.6%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지난 2022년 1월 SK하이닉스가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일대 415만㎡에 반도체클러스터 단지조성에 들어간 이후 이달 현재 52.6%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SK하이닉스가 2019년 2월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을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 부지로 확정하자 용인시는 물론 경기도도 쌍수를 들어 환영했다. 정치권의 입김으로 비수도권 부지가 선정될 가능성에 전전긍긍했던 체증이 확 뚫렸던 것이다. 용인시는 전폭적인 행정 지원을 약속했고, 경기도 또한 일반산단 지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서둘렀다. 당시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대통령이었다.

하지만 SK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갖가지 암초에 걸려 지지부진했다. 계획이 발표되자마자 개발대상지에 투기 광풍이 불었고, 당시 경인일보 보도로 제기된 개발도면 유출 의혹으로 부지 매입단계부터 진통을 겪었다. 부지 매입 완료 후에는 클러스터에 필수적인 인프라 확보에 진땀을 뺐다. 여주시가 물길을 막고 나섰다. SK, 경기도, LH가 종합 지원세트를 제공하고 물길을 열었다. 1년6개월이 지체됐고, 2022년에야 본격적으로 부지 조성 작업을 개시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클러스터에 들어설 총 4기의 반도체 팹 중 1기 팹을 착공하고 2027년 준공해 가동할 예정이다. 예정대로면 8년 만에 공장 1개를 돌릴 수 있다. 그러나 SK는 여전히 클러스터 건설에만 집중할 형편이 아니다. 최근 안성시의회가 클러스터에 전력을 공급할 송전선로 건설에 다시 시비를 걸고 나섰다. 민관이 합의한 전력공급 협약서 파기를 주장한다. 안성 구간 송전선로 건설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공장 준공을 앞둔 SK, 경기도, 용인시는 급한 마음에 또다시 비용을 들여 안성시를 설득해야 할 형편이다.

여기에 클러스터 주변 지역 주민협의체의 상생 요구도 SK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협의체는 용인시, SK와 각각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맺었다. 클러스터 준공 전에 이행할 주민 이익 사업들이다. 그런데 최근엔 매점 운영, 청소 용역 등 클러스터 운영과 관련된 사업권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SK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의 우여곡절과 달리, 남사면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는 LH 주도로 순조롭다. 삼성은 조성된 부지를 매입해 공장만 지으면 끝이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라는 사업은 같지만 일반산단에 투자한 SK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조력에도 비용 추가와 인력을 낭비하며 각종 고초를 감내하고 있다. 반면 국가산단에 참여한 삼성은 추가 비용과 인력의 누수가 없다. 경기도는 SK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 백서를 작성해 대통령실에 제출해야 한다. 경기도지사 출신 이 대통령이 각별한 관심을 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