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가 임금님 진상용 쌀로 우수성을 입증해 온 지역 토종벼 ‘자광미’ 육성과 상품화에 본격 나선다.
시는 지난 12일 농업기술센터 벼 병해충 예찰실증포에서 쌀전업농김포금쌀연구연합회, 김포고촌농업협동조합, (재)김포문화재단 등과 ‘자광미’의 안정적 재배와 소득화 활성화 지원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협약을 토대로 자광미의 상품화와 재배기술 전수와 마케팅을 본격화하고, 문화산업화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개발 및 운영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시는 이번 협약이 지역 특산전략 품목을 육성하고 김포농업의 새로운 소득원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포의 가장 오래된 토종벼인 자광미는 프리미엄 식자재로 이용돼 왔다. 최근에는 한미정상회담 등 국빈만찬의 대표 쌀, 서울신라호텔의 미슐랭 2스타 한식 파인 다이닝 쌀로 활용되는 등 대한민국 대표 ‘프리미엄급’ 우수성을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원산지인 김포에서는 2010년 이후 재배가 중단됐다.
이에 김병수 시장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자광미를 지역특화벼 품종으로 복원하라고 지시했고, 시는 지난해 자광미 복원에 성공했다.
복원된 자광미 현미는 일반 현미와 비교해 안토시아닌이 무려 39배 많고,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가 4배 가량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됐다.
안토시아닌은 항산화와 노화방지 효력의 대표적 성분으로 피부와 눈 건강에 도움을 주고 나쁜 콜레스테롤로 잘 알려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총폴리페놀은 항암과 항산화 효과, 총플라보노이드는 노화를 유발하는 활성산소 억제 효과로 잘 알려져 있다.

시 농업기술센터는 올해 센터 내 벼 실증포에 종자용 1천㎡ 외에도 월곶면 조강리에 2천㎡, 개곡리에 3천㎡가 재배됨에 따라 오는 10월 말에는 조곡으로 2천100㎏ 가량이 생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에는 쌀연구회원을 중심으로 1㏊이상 확대 재배한다는 방침이다.
김병수 시장은 “김포농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김포만의 특성을 살려 브랜드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토종벼 자광미를 시작으로 김포쌀이 대표적인 K-푸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포/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