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제품에 냉장고·건조기 등 추가
업계, 원가 상승·수익성 악화 우려

철강 제품과 철강 파생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프 트럼프 행정부가 냉장고 등 가전제품에 사용된 철강에도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적용 시점이 오는 23일로 임박한 만큼 가전업계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연방 관보를 통해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냉동고, 조리용 슽오브, 레인지, 오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등을 추가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에 관세 25%를 부과했다. 철강으로 만드는 파생제품에도 철강 함량 가치를 기준으로 25% 관세를 부과했다. 철가의 가치를 따져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의미인데, 지난 4일부터는 철강과 파생제품에 대한 관세를 50%로 상향조정했다.
철강 관세 품목이 가전까지 확대되면서 가전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대형 가전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원가 비중이 30~40%에 달해서다. 관세 강화 조치가 제조원가 상승,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지만, 미국에서 생산하는 품목은 많지 않아 관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상황 속 1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생산성본부에서 가전업계 및 협회, 기관과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기업과 협력사 대표 및 임원이 참석해 가전업계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가전은 품목이 다양하고 품목별로 관세 영향이 다르기에 미국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국내외 영향을 점검했다.
산업부는 가전업계와 ‘가전업계 공동대응 태스크포스(TF)’를 운영, 가전기업과 중소·중견협력사의 영향을 점검하고 지원방안을 협의할 방침이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