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북 확성기 중지 조치, 남북 관계 회복의 첫걸음”

김 지사, 지난해 대성마을 두 차례 방문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 발족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 발족식에서 “가장 넓은 접경지역을 품고 있는 경기도부터 6·15 정신을 이어받아 평화를 일상으로 만드는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2025.6.13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 발족식에서 “가장 넓은 접경지역을 품고 있는 경기도부터 6·15 정신을 이어받아 평화를 일상으로 만드는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2025.6.13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6·15 남북공동선언 25주년을 기념하며 “가장 넓은 접경지역을 품고 있는 경기도부터 6·15 정신을 이어받아 평화를 일상으로 만드는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13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 발족식에 참석해 축사를 통해 “평화는 관념이 아니라 ‘실제’이며, 그 실제를 만드는 것은 용기 있는 ‘실천’”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 조치에 대해 “접경지역 도지사로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적극 응원한다”며 지난해 DMZ 안에 있는 유일한 마을인 대성마을을 두 차례 방문했던 기억을 회상했다.

그는 “주민분들을 찾아뵀을 당시 대북 전단과 오물 풍선이 오가는 속에서 끔찍한 확성기 소음까지 밤낮으로 울려댔고, 주민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시면서 일상생활도 거의 하지 못하는 지경이었다. 피해를 오롯이 감내하고 계신 접경지역 주민분들을 보면서 꽉 막힌 대결 구도에 갇혀있는 남북 관계의 현실을 보는 것 같아서 몹시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이어 “우선 경기도 차원에서 대성동마을 모든 가구에 방음창을 (경기도) 예비비로 설치해 드렸고, 주민들께 심리치료와 의료지원도 제공했다”며 “그제(수요일), 드디어 1년 만에 대북 확성기가 멈췄다. 곧이어서 북한의 대남 확성기 소음도 멈췄다. 우리가 먼저 손을 내밀었고, 북한이 곧바로 호응한 것이다. 거의 한 날에 멈춘 대북·대남 확성기는 남북 관계 회복의 첫걸음이자, 앞으로의 향도(嚮導, 길을 이끔)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김 지사는 “4기 민주정부, 이재명 정부가 지난 민주 정부의 성과와 정신을 더 크게 이어받아서 극단으로 치달았던 남북 관계를 치유해 나갈 것이라 믿는다”고도 덧붙였다.

이날 발족한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는 민주정부의 4차례 남북공동선언 정신을 계승, 한반도 평화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협의체다. 경기도와 김대중재단, 노무현재단, 포럼 사의재, 한반도평화포럼 등이 참여한다.

경기도는 남북정상선언 기념식 개최, 평화정책 학술회의 및 토론 등의 사업을 공동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한편 발족식에는 문희상 전 국회의장, 권노갑 김대중재단 이사장, 차성수 노무현재단 이사장, 임동원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 박능후 포럼 사의재 상임대표, 이종찬 광복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박수현·김영진·윤건영·고민정·김영배·박정·홍기원 국회의원 등도 자리를 채웠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