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과열양상, 공식 언급은 3곳
‘하남 미사섬’ 관련 하남 협의 없이
유치 발언 국회의원에 혼란 가중

전남 순천만과 울산 태화강 등 국가정원이 전국적인 관광명소로 자리매김을 하자 경기도내에서도 앞다퉈 수도권 최초로 국가정원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이 나오는 등 과열양상을 띄고 있다.
특히, 일부 정치인들은 사전 준비단계도 없는 상태에서 국가정원 유치에 기대감을 나타내면서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8일 경기도내 지자체와 산림청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국가정원 추진이 공식적으로 언급된 곳은 양평군 세미원, 의왕·군포·안양·광명시 안양천, 하남시 미사섬 등 3곳 정도가 대표적이다.
양평군 세미원은 2019년 6월 도내에서 유일하게 지방정원으로 등록됐지만 지방정원의 면적이 13㏊로 국가정원 지정요건인 면적(30㏊)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안양천은 강득구(안양만안구) 국회의원 주도로 의왕·군포·안양·광명시와 서울 구로·영등포·금천·양천구 등 안양천 주변 8개 지자체가 2021년부터 안양천 국가정원 조성을 추진 중이다. 안양천은 2023년 4월 산림청으로부터 지방정원 조성 예정지로 지정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지자체별로 실시설계가 완료됐거나 진행 중이다.
여기에 김용만(하남을) 국회의원도 하남 미사섬 일원 50만㎡에 수도권 최초의 국가정원을 조성하겠다고 나선 상태다. 김 의원은 관련 지자체와 함께 국가정원 기본구상 수립을 위한 용역을 향후 발주하겠다고 밝혔지만 하남시와 별도의 협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환경보존을 주장하는 환경단체와 수십 년 동안 개발제한구역 규제로 재산권 침해를 받은 미사리 개발찬성 추진위원회 원주민 간 갈등 양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일부에선 지방정원 조성 계획조차 없는 상태에서 불과 몇 개월 만에 수도권 최초의 국가정원 조성계획을 밝힌 것을 놓고 ‘미사섬 국제 마이스(MICE)복합단지’와 비교되고 있다.
이들 지자체뿐만 아니라 몇몇 지자체와 정치권들도 자신들의 지역에 국가정원을 조성하겠다는 뜻을 내비치거나 중장기 계획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실상 국가정원이 마치 ‘미래의 먹거리’화 되면서 과열되는 듯한 분위기다. 반면 산림청에 등록된 수도권 지방정원은 양평 세미원과 인천 강화 화개정원뿐이다.
한 지역 정치인은 “지자체나 정치권 입장에선 연간 수백만명이 방문하는 국가정원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보여질 수밖에 없다”며 “가뜩이나 수도권에 대한 지방의 반발이 큰 상황 속에서 수도권에 복수의 국가정원이 조성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하남/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