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광주’로만 표기 이어져
일반시민 이어 행정기관까지 혼란
전자민원·SNS 재안내 사례 많아
방세환 시장 “정체성 강화 살필것”

‘너른 고을’ 광주시(廣州市)와 ‘빛고을’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지명은 다르지만 발음이 같아 두 도시를 둘러싼 혼선과 오인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언론 보도에서 ‘광주광역시’를 줄여 ‘광주시’로 표기하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일반 시민뿐 아니라 행정기관까지 적지 않은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사건이나 정책에 대해 광주시에 문의하는 전화가 심심찮게 오고 있다”며 “정작 해당 사안과 관계없는 공무원들이 응대에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19일 일부 언론매체가 ‘광주시 산하기관 공무원이 해외에서 골프 접대를 받았다는 의혹’을 보도한 직후 광주시에 사실 여부를 묻는 전화들이 걸려오기도 했다. 그러나 해당 사건은 광주광역시 이야기로 광주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이 같은 오인은 반복되고 있다. 공교롭게 두 도시 모두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추진한 바 있는데, 광주광역시에서 사업과 관련한 수사가 진행되자 광주시와 산하 기관인 광주도시관리공사까지 덩달아 의혹을 받는 촌극이 벌어졌다.
심지어 수년 전에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경기 광주시의 지명 변경’에 대한 찬반 투표가 진행되기도 했다. 일부 시민들은 “지자체의 고유 명칭을 지키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혼선과 행정 낭비를 줄이기 위해 이름을 바꾸는 것도 필요하다”는 실용론이 제기됐다.
혼란은 언론 보도 자막이나 기사 제목에서 특히 심각하다. 지역 구분 없이 단순히 ‘광주’라고만 표기될 경우, 독자들이 두 도시를 혼동하기 쉽다. 예컨대 지난해 발생한 ‘광주 송정동 화재 사건’ 보도 당시에도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과 광주시 송정동을 혼동한 시민들의 민원이 적지 않았다.

온라인 민원에서는 이런 착오가 더 빈번하다. 광주시 관계자는 “전화 민원의 경우 지역번호가 있어 비교적 구분이 되지만 전자민원이나 SNS를 통한 문의의 경우 광주광역시로 오인한 사례가 많아 다시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때 광주시는 광주광역시와의 구분을 위해 ‘경기 광주’라는 명칭을 앞세워 사용하기도 했지만 “왜 우리가 굳이 경기도를 붙여야 하느냐”는 비판과 정체성 훼손 논란도 만만치 않았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광주광역시에서 불이 났는데 광주시로 문의하는 경우도 많다. 언론보도를 보고 지명 혼동을 한 것인데 언론도 정확히 써주면 좋겠지만 시민들이 오인하는 것을 보고 더욱 도시 브랜드를 바로 세워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시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살피겠다”고 밝혔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