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공약 제시… 시의회 건의안
건립 서명운동·국회서 토론회도

과거 고려 왕조의 흔적이 그대로 남은 인천 강화군에 ‘국립강화고려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지역사회 목소리가 높다. 이는 지난 대선 기간 이재명 대통령이 강화군에 내놓은 공약이기도 하다.
강화군은 고려의 정치·군사·문화 중심지로서, 1232년부터 1270년까지 39년간 고려가 몽골의 침략을 피해 수도로 삼았던 ‘고도’(古都)다. 대몽항쟁 역사를 담은 고려궁지를 비롯해 남한에서 고려 역사와 문화적 흔적이 모두 남아 있는 대표 지역이기도 하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분관은 과거 고도 등 역사성·특이성을 반영한 13곳에 설치돼 있다. 특히 삼국시대 이후 수도 역할을 한 적이 있는 서울, 경주, 공주, 부여 모두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박물관이 있지만, 유일하게 강화에만 국립박물관이 없다. 그렇다 보니 강화 곳곳에 남은 유적지와 유물을 관리할 기반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
강화군은 고려시대만 집중적으로 조명한 국립박물관이 아직 없는 만큼, 이를 강화에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지난 4월부터 인천시, 다른 군·구와 협력해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추진 서명운동’을 진행 중이다. 서명운동 기간은 오는 10월 31일까지다. 지난달에는 사단법인 인천시박물관협의회와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공동 건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강화군은 다음달 2일 국회에서 배준영(국·중구강화군옹진군) 국회의원과 함께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필요성 토론회’도 연다.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기조강연을 통해 강화가 고려 수도이자 민족 저항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지닌 의미를 짚을 예정이다. 또 전문가 주제 발표와 토론 등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필요성과 추진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앞서 제21대 대통령선거 기간 이 대통령은 인천 10개 군·구별 공약을 제시했는데, 강화군에는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 지원’을 제시했다. 인천시의회도 힘을 보탰다. 인천시의회는 19일 제302회 제1차 정례회 문화복지위원회 회의에서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촉구 건의안’을 원안 가결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제3차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국립고려박물관 건립을 적극 추진하고, 사전 타당성 평가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조속히 착수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강화를 빼놓고는 고려를 논할 수 없을 정도로 고려 역사에서 강화는 값지고 중요한 지역이다. 인천에 국립박물관이 없는 만큼,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은 반드시 실현돼야 할 지역 현안”이라며 “거리 서명운동에 더 적극 나서는 한편, 토론회 등 박물관 설립 당위성을 확보하고 설득하는 활동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