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와 미국의 주요 이란 핵시설 공습이 맞물리며 중동 지역의 긴장이 극도로 고조된 가운데, 외교통상부 경제통상대사(투자유치 담당)를 지낸 박상은(인천 재선) 전 의원이 이란 사태에 대한 우려와 함께 한국에 미칠 파장을 분석한 글을 SNS에 올려 눈길을 끈다.
박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한밤중 망치’식 이란 핵시설 공격은 단순한 압박이 아니라 사실상 백기 투항을 요구한 것”이라며, “이란이 이에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중동 내 미군기지 타격 가능성까지 내비치면서 사태는 한층 위험한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사태가 단지 중동만의 문제가 아니라며, “세계 원유의 20~30%가 지나가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는 해운 대란과 에너지 가격 폭등을 불러와,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에는 직접적인 피해가 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에너지 전쟁과 해운대란이 현실화되면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다는 우려를 제기한 것이다.
박 전 의원은 “다만 북핵 문제 해결의 단초가 될 수 있다면, 이 사태가 ‘불행 중 다행’이 될 수도 있다”고 북한 핵 문제를 되짚었다.
그는 “북한 김정은도 이란 핵시설에 떨어진 ‘한밤중 망치’를 영상으로 지켜봤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미 수십개의 핵무기를 보유한 북한에 백기 투항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과 러시아의 반응도 주목했다. 박 전 의원은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적 비난에서 한숨 돌릴 수 있지만, 시리아에 이어 또 다른 중동 거점을 잃을 가능성에 직면했고, 중국 역시 에너지 공급 불안정이라는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박 전 의원은 “한국은 1, 2차 오일 쇼크도, IMF 외환위기도, 코로나 팬데믹도 슬기롭게 극복해온 기억이 있다”면서도 “지금은 정권교체기이라 총체적인 국가역량을 결집하지 않으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에 대해 “이재명 정부는 국제정세를 직시하고 ‘우크릭’이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경제안보, 미·일과의 공조, 국민적 총화 모두가 제대로 작동되어야만 이 위기를 넘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화군 석모도가 고향인 박 전 의원은 기업인 출신으로 인천장무부시장을 거쳐 인천 중동 강화선거구에서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인천지역 원로급 인사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