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방역

축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적 투자

“집단면역시스템은 방역정책 패러다임의 핵심 수단이 돼야 한다.”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한국 축산방역정책의 전략적 전환 집단면역시스템 토론회’를 주최한 국민의힘 김선교(여주·양평·사진) 의원은 토론회 및 경인일보와 인터뷰에서 “최근 PRRS(돼지생식기 및 호흡기증후군) 등 고병원성 가축질병이 우리나라 전역에 퍼지면서 전국이 영향권에 접어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등으로 양돈업계는 연간 3천억원 이상의 피해를 보고 있다”며 “고병원성 AI, 뉴캐슬병으로 인한 관련 업계의 생산성 저하는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존의 사후대응 중심 방역정책은 한계에 이르렀고, 이제는 방역정책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집단면역시스템은 이러한 정책전환의 핵심수단”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과학적 근거와 축적된 데이터에 기반한 예방 중심의 선제적 방역체계로 지역 단위, 국가 단위의 통합적 면역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스마트 방역정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의원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으로서 이날 논의된 축산방역 발전방안이 실제 입법과 정책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3선 양평군수 출신으로 재선인 김 의원은 “선제적 방역체계를 갖추는 것은 단순히 질병 예방이 아닌, 축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투자”라며 “이번 토론회가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