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한달 맞아 첫 기자회견
경기·인천서 체험한 행정·정치 경험 언급
해사법원 관련 “부산·인천 둘 다 할 수도”
‘국가 비전 속 고향 챙기기 메시지’ 평가
지선 겨냥 ‘생활 밀착형 신뢰 쌓기’ 분석도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한 달을 맞아 가진 첫 기자회견에서 정치적 뿌리이자 최대 기반인 경기·인천 지역에서 체험한 행정·정치 경험을 언급하는 등 은근한 지원 의지를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지역의 민감한 현안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계획과 관련해 해사법원 설치 문제를 거론하며 “부산과 인천 둘 다 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면서 접경지역 주민과 수도권 안전 문제를 직접 거론하기도 했다.
먼저, 수도권과 인천항의 해사 사법 수요를 고려해 인천에도 법원을 둘 수 있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사실상 인천 지역에 대한 간접 지원 메시지로 풀이된다.
여권 관계자는 “공식 질문에만 답하는 자리였지만 해사법원처럼 지역 현안의 ‘암시’를 흘린 것은 경기·인천 주민에게 적잖은 신호”라며 “큰 틀의 국가 비전 속에 고향 챙기기 메시지가 스며 있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대북정책 관련 발언에서 “긴장 완화와 평화 체제, 대화·소통·협력이 강화되면 경제 상황도 나아지고 국제적 평가도 나아진다”며 “전쟁 중에도 외교는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조치를 언급하며 “너무 빨리 반응해서 기대 이상이었다. 하나씩 완화해 나가자”고 설명했다.
실제 접경지역 확성기 방송은 수도권과 맞닿아 있는 경기 북부 지역 주민들의 일상과 안전에도 직결된다. 이 대통령이 ‘선순환 평화’를 강조한 대목 역시 군사적 긴장 완화가 경제와 지역 안전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상기시키려는 의도로 읽힌다.
특히 이 대통령은 “북한과의 단절된 소통을 재개하고 평화와 공존을 열어가겠다. 평화가 최저 필수조건”이라며 “도발에 철저히 대비하는 동시에 소통의 물꼬를 틀겠다”고 재차 밝혔다.
최근 북방 접경지 주민들 사이에서 “확성기 재개가 불안하다”는 여론이 컸던 만큼, 대통령이 이를 민감하게 받아들였음을 시사한 대목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취임 한 달 만에 확성기부터 멈춘 것은 대통령이 말하는 ‘평화 선순환’의 상징적 사례”라며 “수도권과 접경 지역 주민들의 일상을 흔들지 않겠다는 의지를 확실히 보였다”고 해석했다.
이외에, 이 대통령은 지역 균형발전과 관련해 “소멸 위기 지역엔 지원 쿠폰을 더 지급하고, 농촌 기본소득도 검토하겠다”며 농어촌 지원책을 강조했다. 경기 동부·북부 농촌 지역에 대한 ‘생활권 배려’ 메시지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수도권 집중과 지역 균형발전 문제에 대해선 “농촌에 희망이 자라고, 수도권 문제도 신도시 추가 건설은 최소화하겠다”며 “지역 간 균형을 유지하고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고 말했다. 신도시 추가 지정에 대해 선을 긋고, “하겠다고 한 것은 하되 새로 만들진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수도권 과밀화 우려를 경계하는 동시에 기존 약속은 존중하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정치권 안팎에선 이날 회견이 “취임 한 달 소회”를 넘어 내년 지방선거와 3년 뒤 총선을 겨냥한 이 대통령 특유의 ‘생활 밀착형 지역 신뢰 쌓기’ 행보로 읽힌다는 분석도 나왔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