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
수도권 접경지 주민 안전도 거론
확성기 중지 ‘평화 선순환’ 보여줘
수도권 추가 신도시 지정 최소화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해양수산부(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반발 기류가 있는 인천지역을 향해 “(해수부 대신) 해사법원은 부산과 인천 두 곳 모두 설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며 접경지역과 수도권 주민 안전 문제를 직접 거론해 눈길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겠다고 했더니 대전·충남에서 일부 반발이 있었고 인천에서도 ‘왜 인천으로 안 오고 부산으로 가느냐’는 이야기가 나왔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인천은 성장하는 도시로 인구와 경제가 계속 늘고 있다”며 “해사법원은 수요가 있으면 인천과 부산 두 곳에 모두 설치하면 된다”고 밝혔다. 그는 “부산은 안 되고 인천에만 해야 한다는 주장은 일반적인 동의를 받기 어렵지만 양쪽에 다 설치하는 방안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해수부 부산 이전 방침에 반발하는 인천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계에 ‘해사법원 설치’ 대안을 제시하며 지역 갈등을 완화하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경기도지사 시절 수도권 공공기관을 경기북부·동부·서부로 이전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공리적으로 합당하면 국민들께서 잠깐의 갈등은 겪어도 다 수용하시더라”고도 했다.
이날 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체제와 접경지역 안전 문제도 직접 언급했다.
그는 “(남북) 긴장 완화와 평화 체제, 대화·소통·협력이 강화되면 경제 상황도 나아지고 국제적 평가도 좋아진다”며 “전쟁 중에도 외교는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대선 공약이기도 한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조치를 언급하며 “대북 방송 중단할 때 (북한이) ‘혹시 반응 안 하면 어떡할까’ 약간 우려했던 건 사실이지만 분명히 호응할 거라 생각했다”며 “그러나 너무 빨리 호응해서 약간은 기대 이상이었다. 그래서 하나씩 하나씩 완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는 접경지역 주민 불안 여론을 의식한 발언으로 앞으로 접경지역 규제 해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취임 한 달 만에 대북 확성기부터 멈춘 것은 ‘평화 선순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신도시 추가 지정에 대해 이 대통령은 “하겠다고 한 것은 하되, 새로 만들진 않을 것”이라며 “(수도권) 과밀화 우려를 경계하는 동시에 기존 약속은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여권 관계자는 “공식 질문에만 답하는 자리였지만 해사법원 설치나 접경지역 평화 강조처럼 지역 현안을 은근히 언급한 것은 인천·경기 주민에게 적잖은 시그널”이라며 “국가 비전 속에 지역 기반을 챙기겠다는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