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싱크홀 원인 54% 집계

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없고

노후기준 달라 선제대응 한계

사진은 싱크홀이 발생해 출동한 관계자들이 긴급 복구 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사진은 싱크홀이 발생해 출동한 관계자들이 긴급 복구 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최근 10년간 발생한 싱크홀의 절반 이상이 노후 상·하수도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경기도 곳곳에서 관련 사고(6월27일자 6면 보도 등)가 잇따르면서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20년 이상 된 상·하수도관이 1만여㎞에 달하지만, 관리 시스템이 분산돼 있고 노후 기준도 달라 선제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시·군이 제출한 관망도와 2023년 하수도 통계를 참고해 도내 2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 1만6천985㎞ 중 1만1천494㎞에 대해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다. 다만 상수관로의 경우 노후관으로 분류된 길이는 총 1만7천917㎞로 집계됐으나, 이는 자재별 특성에 따라 노후 기준이 달라 일률적으로 20년 이상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노후관 관리가 시급한 이유는 도로 함몰(싱크홀)과 같은 대형 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주변 토사가 유실되고 지반이 약해져 지표면이 내려앉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발생한 싱크홀 사고 원인 중 54%가량이 상·하수도관 손상으로 인한 누수 때문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광주시 신현동에서는 1998년 매설된 상수도관이 공사 중 파열돼 인근 4천여 가구가 단수 피해를 겪었으며, 지난 2월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도로에서도 배수관 공사 중 상수도관이 터져 도로가 침수되고 차량이 통제된 바 있다. 대규모 누수를 유발하는 관로 파열은 주변 지반을 급격히 약화시켜 대형 싱크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도내 지자체들은 자체적으로 GPR 탐사 등을 실시하며 노후 상·하수관로 등으로 인한 싱크홀에 대비하고 있다.

GPR은 전자파로 지하의 공동(空洞) 등을 탐지하는 장비다. 수원시는 1천245㎞ 구간을 5개 권역으로 나눠 순차 탐사 중이며, 2018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발견한 285개 공동을 복구했다고 밝혔다. 과천시와 광명시 등도 지반 정밀 탐사에 착수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관리는 여러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주철·PVC·스테인리스 등 자재마다 기준이 상이한 상수도관 문제와 더불어 시·군 단위로 분산된 관리 시스템이 한계로 꼽힌다. 실제 정비는 31개 시·군이 각자 보유한 관망도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정해 진행하나, 도 차원에서는 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사고 우려가 큰 구간부터 개별 점검하는 사후 조치에 머무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하수관로는 20년 이상 노후 구간을 중심으로 시군 관망도 기준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다. 상수도는 자재별 수명이 달라 일괄 집계는 어렵지만 누수 우려 구간을 중심으로 탐사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환경부, 국토부와의 점검 협조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