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곡관리법 등 농민들의 염원인 ‘농업4법’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온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 등에 반발해 지난달 30일부터 무기한 농성을 벌여온 농민단체들이 농성을 잠정 중단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오전 취임 첫 일정으로 농성 중인 단체들을 찾아 정부 차원의 대화 메시지를 전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들 단체들은 대화와 별개로 송 장관의 유임을 철회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강순중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정책위원장은 “이날 직접 현장을 찾은 총리와 면담을 통해 2주 내로 (토론) 자리를 만들기로 했다”며 “충분하게 소통이 이뤄졌다는 판단 하에 농성은 이날 중으로 잠정 정리할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밝혔다.
전농,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회 등 8개 단체가 모인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길’(농민의길)은 지난달 30일부터 ‘농업4법’(양곡관리법·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법·농어업재해대책법·농어업재해보험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와 이 법안을 ‘농망4법’(농업을 망치는 4개 법)이라고 폄훼한 송 장관의 유임 철회를 촉구하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농성을 벌여왔다.
김 총리는 이날 “새 정부 농민정책은 (계엄사태 후) 남태령에서 함께한 과정, 농민4법을 함께 만든 과정의 연장선에서 함께 맞춰온 것들은 결국 (통과)될 것이라고 확신을 갖고 있다”며 농민단체들에게 대화의 제스처를 건넸다.
농민의길은 2주 뒤 잡힐 정부 관계자들과의 자리에서 농민들의 요구 사항을 전달할 방침이다. 농업4법의 통과와 함께 문재인 정부 당시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농특위)의 실질화를 통해 농정 현장에 필요한 정책 개발도 요구할 계획이다.
강 위원장은 “대통령이 대선 국면에서와 최근 기자회견에서 밝힌 법안 통과 등의 의지가 실천적으로 실행되는지 지켜보는 한편, 농업4법의 경우에도 기존 합의 내용이 후퇴돼 추진되지 않도록 요구 사항을 계속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송미령 장관 유임 철회 주장과 관련) “정부와의 대화와 별개로 유임을 반대하는 농민들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