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위탁업체 노동자들까지 신경쓰겠어요”
영통소각장 설계·시공업체 선정되고도 고용대책 전무
수원시, 착공전까지 고용 대책 마련할 것

수원 자원회수시설 시설개선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공사 기간 동안 일자리를 잃을 것을 우려(2023년 10월 24일 인터넷 보도)한 위탁업체 소속 노동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설계·시공업체 선정이 완료된 이후에도 고용 대책이 확정되지 않으면서 노동자들의 불안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5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수원 자원회수시설(영통소각장) 시설개선사업의 실시설계 적격자로 ‘(주)태영 컨소시엄’이 지난달 결정됐다. 수원시 위탁을 받은 한국환경공단은 설계·시공 일괄 입찰(턴키) 방식으로 담당 업체를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20년 이상 장기 가동으로 노후화된 시설과 수명을 다한 소각로를 전면 대보수하는 작업으로, 오는 12월 착공해 2026년 7월부터 2년 동안 소각 운영을 전면 중단할 예정이다.
하지만 설계·시공업체가 결정된 상황에서도 자원회수시설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의 고용 대책은 마련되지 않아, 일자리 상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공공연대노동조합 경기본부 수원소각장지회에 따르면 현재 이 시설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50여명에 달하며, 대부분은 20년 넘게 3~5년마다 바뀐 위탁업체와 계약을 맺고 일해온 직원들이다. 이에 공사 기간 동안 대체 일자리를 제공받고 공사 완료 후 다시 원래 일터로 복귀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중앙제어실에서 근무하는 A(55)씨는 “시설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짓는 상황인데, 2년 후에 누가 우리같은 위탁업체 소속 노동자들을 신경 쓰고 약속을 지킬지 모르겠다”면서 “재작년부터 대보수공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고용 대책은 전혀 진전되지 않았고 소각장 중단까지 1년밖에 남지 않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조성환 지회장은 “수원시는 공사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두 개의 소각로를 한 번에 부수는 현재의 방안이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다”며 “소각장 가동이 멈추는 기간 동안 수원시에서 대체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수원시는 착공 전까지 고용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원시 관계자는 “최근 공사 담당 업체와의 첫 회의에서도 시설 노동자들의 고용 대책에 대해 논의했으며, 착공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위탁 업체 관계자는 “시공사가 최근에 선정됐기 때문에 아직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다”면서도 “시공 작업에 투입하거나 시에서 마련하는 대체 자리 투입, 다른 자원순환 시설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등 여러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