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거일 작가의 역사 소설 ‘미추홀, 제물포, 인천’
보수 논객이자 1980~90년대 한국 SF(Science Fiction) 문학을 선도한 소설가 복거일이 최근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천의 역사를 총망라한 장편 소설 ‘미추홀, 제물포, 인천’(무블·2025)을 발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그동안 복거일 작가는 인천과 연고가 깊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2권짜리 총 892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소설 ‘미추홀, 제물포, 인천’은 2천700만년 전 지구 역사를 다룬 ‘황해의 탄생’에서 출발해 삼국 시대, 고려와 대몽항쟁, 조선 왕조의 성립, 임진왜란·병자호란, 병인양요와 서세동점 그리고 제물포 개항, 일제 강점과 해방,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현재로 이어지는 역사의 큰 흐름 속 인천을 중심에 뒀다.
특히 근대 이후 인천을 찾은 서양인들, 하와이 이민,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 휩싸인 제물포, 인천 최초의 야구단 한용단, 인천상륙작전, 인천학도의용대, 경인고속도로 등 지역사를 중요하게 다뤘다. ‘만셕’과 ‘월례’ 일가의 가족사를 역사의 흐름에 엮어 95개 이야기로 풀어냈다. 소설의 마무리는 2014년 개최된 인천아시안게임이다.
복거일 작가는 최근 경인일보와의 통화에서 “제물포는 서세동점 시기 유럽의 기독교 문명이 들어왔고, 당시 (근대 문물이) 서울 한성에서 한 것보다 앞서서 조그맣게라도 먼저 싹을 틔운 곳”이라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이보 안드리치의 소설 ‘드리나강의 다리’(1945)가 하나의 다리를 주인공으로 400년의 역사를 다뤘는데, 우리나라에선 제물포가 그런 곳이라고 생각했다”고 소설을 쓰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복거일 작가는 상당히 오랜 기간 자료, 현장, 인터뷰 등 취재 결과를 쌓아가며 소설을 썼다고 한다. 문제적 역사소설과 과학소설을 꾸준히 써온 복거일은 그의 정치 성향으로 대중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작가이기도 하다. 다만 이 소설은 인천 연고 작가가 아닌 외부인의 시선에서 통사적 흐름으로 인천을 바라본 이례적 작품임은 분명해 보인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