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친화 근무제’로 시대적 흐름 이끈다

 

市, i:休 ‘일맛저격’ 5번째 정책

유정복 시장 ‘저출생 정책’ 의지

과거 주5일제 도입 당시와 비슷

공공서 정착돼야 민간 파급 효과

인천시가 공직사회 근무 여건을 대대적으로 바꾸는 ‘워라밸 실험’에 나섰다. 인천시는 임신·육아 중인 직원을 대상으로 주4일 근무제를, 또 전 직원을 대상으로 주4.5일 근무제를 도입했다. ‘가정친화 i:休(아이:휴) 근무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천시는 지난해부터 저출생 정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데, 공직사회부터 이 같은 분위기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내부에서 제기됐다.

올해 1월 유정복 인천시장 지시로 9명으로 구성된 ‘직원 사기진작 TF’를 꾸렸다. 단장은 인천시 행정국장, 부단장은 총무과장으로 인사·총무·평가담당·정책기획 부서 팀장급 직원이 참여했다. 지금까지 8차 회의를 거쳐, 일할 맛 나는 공직사회를 만들기 위한 ‘일맛저격’ 시리즈 정책을 내놨다. 아이휴 근무제는 ‘일맛저격’ 시리즈 5번째 정책이다.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고 있는 정책을 벤치마킹했다. 이번 실험은 유 시장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인천시 저출생 정책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인천형 출생 정책 시리즈에 붙이는 ‘아이(i)’ 수식어가 붙었다.

노동시간 단축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됐다. 지난 대선 국면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모두 주 4.5일제 공약을 제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우리 사회가 앞으로 노동시간 단축을 반드시 해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사회적 흐름으로 정착돼 가다 보면 실행할 수 있는 현실적 목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과거 ‘주 5일제’ 도입 당시 상황이 지금과 비슷했다. 2002년 일부 정부 부처와 은행 등에서 시범 사업으로 시작했다. 2011년 5인 이상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되기까지 10년 가까이 걸렸다. 현재 토요일은 당연히 쉬어야 하는 날로 자리잡았다. 법정 근로시간으로 보면 1953년에 주 48시간에서 1989년에 주 44시간으로, 2003년부터 주 40시간으로 단축됐다. 2004년 ‘1천명 이상’을 시작으로 점차 사업체 규모별로 주 40시간 적용 기준을 넓혔다.

인천시 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공기업, 민간기업 전반으로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생길 것은 분명하다. 다만 공공부문조차 제도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민간 확산은 더딜 수 있다. 인천시의 이번 실험이 중요한 이유다. 단순한 공직자 복지 향상이 아니라 행정 생산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시민 서비스 개선을 이뤄내야 하는 것도 인천시 과제다.

인천시 한은희 총무과장은 “직원 사기 진작을 위한 정책으로 도입했지만 동시에 공공이 먼저 일·가정 양립이라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든다는 중요한 정책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이 같은 제도가 공직사회에 먼저 안착할 수 있도록 고심하겠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