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 서해대교에서 짙은 안갯속에 29중 차량 추돌사고와 잇따른 화재사고가 발생, 11명이 사망하고 54명이 부상했다.
이 사고로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 서해대교 구간이 7시간40분 동안 전면통제됐으며, 하행선도 사고처리 여파로 극심한 차량 혼잡을 빚었다.
◇사고순간
3일 오전 7시50분께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 서해대교 북단에서 1㎞ 못 미친 지점(목포기점 279.8㎞) 3차로에서 25t 화물트럭(운전자 이모.48)이 앞서가던 1t트럭(운전자 김모.54)을 들이 받았다.
추돌 후 25t 화물트럭은 2차로로 튕겨 나왔고 이어 2차로를 뒤따르던 승용차와 버스, 화물트럭 등 27대가 연쇄추돌했다.
추돌사고와 함께 화물트럭 등의 연료탱크가 터지면서 차량 11대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했으며, 승용차 6대를 실은 대형 트레일러도 불길에 휩싸였다.
이 사고로 김광민(39.인천 남구 주안동)씨 등 11명이 숨졌으며, 54명이 중경상을 입고 당진 백병원과 평택 중앙성심병원 등 12개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중이다.
이날 고속버스를 이용, 전북 군산에서 서울로 가던 윤모(40)씨는 "승객 10여명과 함께 차를 타고 가다 갑자기 추돌사고가 일어나 깨진 유리창문으로 탈출했다"며 "차에서 내리고 보니 연기가 났고 주변에서 강력한 폭발소리와 함께 여기 저기서 신음소리가 들렸다"고 말했다.
늑골과 팔 골절상을 입은 김모(40.여)씨는 "안개가 너무 끼어 20m앞도 분간하지 못할 정도였는데 우리가 탄 봉고차 바로 앞에 트럭이 비상등도 켜지 않은 채 서있어 추돌하게 됐다"고 말했다.
사고가 나자 충남과 경기소방본부 119구조대와 소방차량 20여대가 출동,진화 및 구조작업을 벌였다.
◇사고원인
이날 오전 서해대교에는 오전 3시 안개주의보가 발령돼 사고가 난 오전 7시50분 현재까지 해제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사고 당시 시정거리는 100m 안팎에 불과했다.
경찰은 시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과속으로 달리던 25t화물트럭이 1t트럭을 들이받으면서 대형 참사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차량 11대에 화재가 발생했지만 심한 안개가 낀데다 사고차량들이 갓길까지 뒤엉키며 화재 진압차량과 구조차량의 현장접근이 어려워 사상자가 늘어났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서해대교는 길이만도 7.3㎞에 달할 만큼 길고 직선으로 건설돼 가시거리가 좋기 때문에 차량들이 과속하는 경향이 있다"며 "바다위에 건설됐기 때문에 연간 30∼50일 정도 해무가 발생하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때 늘 주위운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찰 관계자는 "차량에는 연료탱크가 적재됐기 때문에 추돌사고 등 큰 충격이 가해지면 탱크가 터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로공사는 이날 새벽 1시부터 다리에 설치된 도로전광판(2개)을 통해 안개주의 교통정보를 계속 내보냈다.
◇고속도 정체 극심
사고직후 사고지점을 중심으로 충남 송악IC- 경기 서평택IC 12.6㎞구간 상행선이 오후 3시30분까지 7시간40분동안 전면통제됐다.
또 도로 통제로 인해 상행선 송악IC-당진 3㎞구간에서 극심한 차량정체를 빚었다.
경찰과 한국도로공사는 상행차량들이 송악IC를 빠져나와 77번국도와 39번을 우회토록 했으며, 사고지점 중앙분리대를 열어 서해대교에 갇혀있던 차량들을 U턴시켜 송악IC를 이용토록했다.
화재진압작업으로 소방차가 하행선 2개 차로를 차단함에 따라 서서울IC-매송 9.3㎞구간과 서평택-서해대교 13㎞구간 등 서해대교 인근 서해안고속도로 하행선도 5시간여 동안 큰 혼잡을 빚었다.
서해대교 29중추돌..11명 사망
54명 부상.인근병원 후송, "안갯속 과속주행이 원인"
입력 2006-10-03 18: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6-10-03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