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교사들이 승진 가산점제 변경을 앞두고 술렁이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은 이달 말 교사들의 승진 가산점제 개정안의 공포를 앞두고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에서 4일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는 교사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듯 400여 명의 교사가 참석했다.

시 교육청은 이날 공청회에서 보직교사 경력과 연구학교 근무경험, 영재학급·특수아동 지도 경력, 교육활동 유공실적 등 승진에 소요되는 '가산점 부여기준 개정(안)'의 개정 방향을 제시했다. 시 교육청은 가산점의 총점을 현행 15점에서 10점으로 하향 조정하고, 승진 가산점의 세부 항목별 상한 점수를 조정할 방침이다.

개정 대상 항목 중 인천의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 도서·벽지 근무경력의 상한 점수는 이날 공청회에서 쟁점으로 부각됐다. 시 교육청은 도서·벽지 근무경력의 가산점을 현행 2.0점 만점에서 농어촌경력 등을 그룹 상한점으로 묶어 2.5점으로 조정할 방침이다.

도서·벽지 근무경력의 상한점수와 관련, 공청회에 참석한 교사들 간에 논란이 일었다. 일부 교사들은 도서·벽지 학교에 근무하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인 만큼 도서·벽지 근무 가산점이 공평한 승진기회를 박탈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시 교육청에 따르면 3월 현재 인천 관내 초·중등 교사는 모두 1만7천415명으로 이중 3.9%에 해당하는 675명이 도서·벽지와 농어촌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상한점인 2.0점을 획득하기 위해 최소 5년 이상 가족과 떨어져 생활해야 하는 셈이다.

인천 서구 A고의 김모 교사는 "그나마 결혼한 여교사나 예체능·공업계열 교사들은 승진 가산점을 얻기 위해 도서·벽지에 근무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개정안 상한 점수를 낮추든지 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교육공무원승진규정에 따라 그동안 다수의 교사가 취득한 가산점이 존중되고, 통합적용 점수를 오히려 3.5점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강화의 B중학교에서 근무하는 박모 교사는 "도서·벽지 근무 가산점은 교사들의 승진규정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현행 기준을 존중하면서 개정돼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시 교육청 관계자는 "도서·벽지에서 근무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승진이 어려운 것을 인정한다"며 "이번 개정안은 승진의 길을 다양하게 열어보자는 취지인 만큼 보다 폭넓은 의견을 들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