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에 지어진 하수슬러지자원화 2단계 시설에 대한 자치단체 분담금을 내지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2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하수슬러지 자원화 2단계 시설 설치를 위해 인천시가 분담해야 할 82억원(국비 포함) 중 21억9천만원을 납부하지 않았다. 하루 1천t의 하수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이 시설은 이미 지난 1월 준공해 가동이 되고 있는 상태다.

수도권매립지의 광역폐기물처리 시설은 국비와 함께 수도권 3개 시·도의 분담금으로 지어진다. 분담금은 통상적으로 사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지급해야 한다. 서울시(411억원)와 경기도(354억원)는 분담금을 모두 납부한 상태다.

하지만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매립기간 연장이라는 문제와 맞물려 아직까지도 분담금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6월 1차 추경예산 심의에서 인천시의회 산업위원회가 이 예산을 전액 삭감해 버린데다 이번 2차 추경에도 반영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인천시의회는 곧 있을 2차 추경에서 이 예산을 반영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구재용 의원은 "수도권매립지가 에너지타운이라는 명목으로 매립지 영구화를 모색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예산은 한 푼도 내어줄 수 없다"며 "매립지공사가 2016년까지 매립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으려고 하면서 인천시에만 약속을 지키라고 하는 것이 더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매립지공사는 인천시에 분담금 납부를 촉구하는 공문을 수차례 보내는 등 인천시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다. 만일 시가 끝까지 분담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소송까지 이어질 우려가 있다.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아직 완공되고 1년도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돈이 당장 급한 상황은 아니지만, 인천시가 결국 분담금을 안낼 경우에는 공사 나름대로의 대처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중간에서 속앓이만하고 있다. 이미 지어진 시설인데다 인천시 하수슬러지도 처리하고 있는터라 끝까지 버틸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또 정부로부터 '페널티'를 받아 폐기물 관련 국비 지원에 제동이 걸릴 우려도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추경때 무조건 예산을 확보해서 매립지공사에 분담금을 줘야한다"며 "시의회에 충분히 설명해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