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초·중·고에서 편법적으로 '0교시'를 운영하면서 수업료까지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민주통합당 이상민(대전 유성)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으로 전국 300개 초·중·고에서 수업료를 받으며 0교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고등학교는 175곳, 중학교는 109곳이었다. 심지어 초등학교도 16곳이나 됐다.
지역별로는 경북(65곳), 제주(49곳), 충북(44곳), 서울(35곳), 경기(27곳), 인천(14곳) 등의 순이었다. 이들 학교 중 상당수는 특정 학년이 아닌 전교생을 상대로 0교시 교과과목 수업을 하고 있었다.
인천의 경우에는 고등학교가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는 2곳으로 조사됐다. 반면에 경기도는 중학교가 14곳으로, 고등학교(6곳) 보다 많았다. 초등학교도 7곳이 포함됐다.
이들 학교 외에도 수업료를 받지는 않지만 편법적으로 0교시 수업을 하는 곳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인천에서도 학생들의 학습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관련 조례 시행으로 0교시 수업 운영이 어려워지자, 등교시간과 1교시 정규수업을 20~30분씩 앞당기는 학교들이 생겨나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심지어 일부 학교에서는 등교시간을 일찍 앞당겨 지각생이 늘어났고 해당 학생들에게 생활기록부상 불이익까지 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상민 의원은 "성장기에 있는 어린 학생들이 아침밥도 거른 채 원치않는 수업을 돈을 내 듣고 있는 것이다"며 "편법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와 관련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승재기자
슬그머니 '0교시' 부활… 에구머니 돈까지 받아
전국 300개 초·중·고서 성행
1교시 앞당기는 편법 운영도
입력 2012-10-22 23:5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10-23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