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접 경기 북부지역 법인 택시 노조가 잇따라 택시요금 인상 반대를 선언하고 나서 경기지역 택시요금 인상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가열될 전망이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초 경기택시운송사업조합으로 부터 평균 25% 요금 인상안을 제출받아 검증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여론 수렴 과정과 도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빠르면 다음달 말 최종 인상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고양시의 경우 이달 초 5개 법인 택시 노조가 모임을 갖고 '택시요금 인상 반대'를 결정한 뒤 시내 30여 곳에 이런 내용을 담은 현수막을 내거는 등 홍보활동을 벌이고 있다.
또 의정부시 법인 택시 노조는 '완전 월급제 시행 없는 요금 인상 반대'를 주장하며 의정부시청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구리시 법인 택시 노조도 '요금 인상반대' 를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법인 택시 노조가 이례적으로 요금 인상 반대를 주장하고 나선 이유는 요금 인상에 따른 실익이 전혀 없다는 현실적인 판단 때문이다.
완전 월급제가 시행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서울에서 처럼 요금 인상이 사납금 인상으로 이어질 경우 운전자들에게 돌아오는 몫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도농복합 할증제 적용으로 서울 택시요금 보다 17% 가량 비쌌던 고양시의 경우 서울 택시요금 인상으로 오히려 20% 가량 싸지면서 고양 택시 이용객이 증가하는 등 영업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고양 법인 택시 노조 권오형(48) 조합장은 “그동안 서울 택시의 타지역(고양) 불법 운행으로 감시대를 구성하는 등 어려움이 컸다”며 “더구나 요금 인상이 사납금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우리에게 오히려 부담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택시운송사업조합 측과 일부 개인 택시 운전자들은 서울과 비슷한 요금 인상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고양·의정부시 등 일부 지역 시민단체들이 요금인상 반대를 거들고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논란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