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피넷 국제유가 동향. 원유와 석유제품 가격이 3주 연속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오피넷 |
올해초 배럴당 40달러대까지 떨어졌던 국제유가가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국내 기름값도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1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www.opinet.co.kr)에 따르면 지난 1월 중순 저점을 찍었던 국제유가가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배럴당 60달러를 웃돌고 있다.
두바이유 현물은 지난 1월 14일 최저점인 배럴당 42.55달러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해 지난 7일에는 65.06달러에 거래돼 53%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미국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선물가격도 1월 13일 46.59달러에서 지난 7일 65.54달러로 41% 상승했고, 런던 ICE 선물시장의 북해산 브렌트유도 3월 17일 43.46달러에서 지난 7일 58.94달러로 36% 올랐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유가 상승은 가격 하락으로 채산성이 맞지 않자 미국 셰일오일과 가스업체 등이 생산을 중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가가 오르면서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국제 석유제품 가격도 덩달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휘발유 가격은 1월 평균 54.24달러에서 4월 73.49달러로 오른데 이어 지난 7일에는 81.77달러로 치솟았다. 1월 평균 62.92달러였던 등유 제품은 지난 7일 79.45달러에 거래됐고, 주로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경유(0.05%) 제품은 같은 기간 62.34달러에서 79.40달러로, 선박·철도가 이용하는 경유(0.001%) 제품은 63.54달러에서 81.01달러까지 상승했다.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국제 석유제품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 환율과 관세, 수입부과금, 국내 유통비용 등이 더해져 최종 판매 가격이 결정된다.
이처럼 국제유가와 석유제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국내 기름값도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지난 2월 평균 리터당 1천439.1원까지 떨어졌던 국내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5월 첫째주 평균 1천516.3원까지 상승했다. 전국에서 기름값이 가장 높은 서울의 휘발유 평균가는 리터당 1천609원으로 다시 1천600원 시대에 접어들었다.
경유 역시 지난 2월에 1천277.1원까지 하락했다가 5월 첫째주에는 1천324.1원으로 상승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