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RE100, 기후보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신규 원전 건설 반대…전면 검토하겠다”
경기도에서 RE100을 비롯한 기후 정책을 주도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한국인 중 유일하게 유엔 기후행동의 기후정책 선도자로 이름을 올렸다.
23일 김 지사 캠프는 김 지사가 ‘로컬 리더즈’ 11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김 지사와 함께 선정된 지도자로는 개빈 뉴섬 미국 캘리포니아 주지사, 판카자 문데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동물사육·환경·기후변화부 장관 등이 있다.
로컬 리더즈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방정부의 리더십과 실천 사례를 조명하기 위한 글로벌 캠페인이다. 유엔 기후행동이 주관하고 C40도시기후리더십그룹, 글로벌 기후·에너지 시장협약(GCoM), 언더투 연합(Under2 Coalition) 등 주요 국제기후단체가 공동 기획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최초로 ‘기후보험’을 제공하고, 2026년까지 공공부문 전력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후보험은 기후불평등 해소를 위해 취약계층에게 폭염·폭우 등 기후재난에 따른 건강 피해를 보상해주는 정책이며, 경기도는 김 지사가 취임한 2022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1GW 이상을 생산했다. 이는 원자력 발전소 1기 수준의 발전량이다.
이번 대선 공약에도 김 지사는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담았다. 기후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기후경제부’ 신설, 기후산업 400조원 투자, 기후복지법 제정으로 전 국민 기후보험 가입 법적근거 마련 등이다.
특히 김 지사는 에너지 정책에 있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원자력발전소 비중을 유지하되 사회적 합의로 조금씩 줄여가야 한다”는 주장과 다른 견해를 보였다.
이날 김 지사는 캠프 사무실에서 ‘백팩 메고 TMI’(도어스테핑)를 열고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은 그대로 건설하겠지만 신규 원전 건설을 반대한다”며 “대통령이 되면 신규 원전 건립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긴 원자력발전소 신규 건설 계획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낸 것이다.
그러면서 “대신 (원전으로 생산되는) 그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크게 늘리는 방안을 만들어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기후테크 산업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서는 “네이밍이 잘못됐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바람직한 에너지 믹스 정책이라고 했으면 좋았을 것을 탈원전이라고 해서 마치 하루아침에 원전을 사용하지 않는 식의 프레임이 씌워져서 비판을 받은 것으로 생각한다. 저는 탈원전이라는 말은 쓰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