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성 회복영역 관심부족 지적
역사자료관 확대 복합공간 제안
타기관과 사업중복 우려 반론도

인천시가 근대 역사문화자원을 연구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육성과 연구기관 설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상원 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27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린 '시사편찬 업무기능 활성화 및 문화시설 활용방안을 위한 토론회'에 주제발표자로 나와 이같이 밝혔다.

김상원 교수는 인천을 '근현대사의 보고(寶庫)'라고 평가하면서도 역사·문화자원과 관련한 '장소성 회복' 영역은 체계적 조사와 연구가 미진하다고 지적했다. 장소성 회복은 공간의 물리적 복원과 활용이 아니라 공간이 갖고 있는 고유의 역사와 기억을 되살려내는 것을 말한다.

인천시는 앞서 근대 건축물인 제물포구락부와 옛 인천시장 관사를 관광객을 위한 세계맥주 판매점과 게스트하우스로 꾸미겠다고 밝혀 논란이 일었다.

김 교수는 "개항장, 대불호텔, 차이나타운, 김란사·하상기, 김구, 월미도 등 지역의 역사와 기억을 종합적으로 조사해 도시공간을 재장소화해야 한다"며 "장소성 회복을 위해서는 관광 활성화라는 강박증에서 벗어나 공간이 거주민과 가졌던 본래의 관계, 사회적 역할과 정서적 기능을 살펴보고 복원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김상원 교수는 이를 위해 전문위원 2명이 담당하고 있는 인천역사자료관을 확대·개편한 연구기반의 역사문화복합공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역사문화자료를 발굴, 수집, 정리, 발간하는 연구 업무에 도서관과 전시·홍보·교육 기능을 더한 조직·기관으로 확대하자는 얘기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역사자료관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과 역사자료관과 시사편찬의 개념 정립부터 다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붙었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인구 300만명의 거대도시로 성장한 인천의 위상에 걸맞은 역사문화 관련 기반시설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옥엽 역사자료관 전문위원도 "시사(市史) 업무 활성화의 대전제는 인력 보강과 예산 확대"라고 했다.

반면 김락기 인천문화재단 역사문화센터장은 "인천역사자료관은 조례 없는 임의단체로 인천사 연구의 중심센터로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역사자료관의 확대는 오히려 인천문화재단, 인천연구원 등 다른 공공기관의 사업과 중복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김상태 인천사연구소장은 "현재 인천에 산재해 있는 공적기관에 있는 역사관련 연구자들은 발등의 불을 끄듯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에 급급하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계획적이고 구체적인 밑그림을 만드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