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접촉확대·소통구조 마련
지원전략 구심점 '브레인' 필요성

인천이 '창업 허브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선 청년 창업자들이 사업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사람'과 창업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유롭게 도전할 수 있도록 돕는 접근성 좋은 '인프라',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 등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서도원 창업지원본부장은 "창업자들의 유출을 막아 (이들이) 인천에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서울과 판교를 중심으로 한 경기 일부 지역이 가진 창업 환경에 비해 인천이 부족한 건 사실이지만, 사람·인프라·예산 등 세 조건이 맞물리면 인천만의 매력적인 창업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 그래픽 참조

또 "부산 등 일부 지역의 경우엔 그 지역의 전통 제조기업이 신사업 발굴을 위해 자체적으로 창업자들을 육성·지원하고 투자하는 창업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며 "인천의 중견·제조업체들이 지역 창업자들과 연결돼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마련하는 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서울의 디캠프, 마루180, N15와 같은 창업보육시스템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들 창업보육센터는 저렴한 보육 공간 제공보다는 창업 공동체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입주기업 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투자 유치를 추구하는 모델이다.
인천연구원 서봉만 연구위원은 "창업기업과 투자자가 접촉면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민간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방향으로 공공 영역의 창업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공공 영역은 창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민간 영역은 창업자 육성을 통한 이익 창출과 투자금 회수를 원할 것"이라며 "창업자와 투자자를 인천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와 함께 이런 민관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소통 구조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12월 창립을 앞둔 인천창업포럼이 인천 창업 활성화를 위해 실질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다. 인천창업포럼은 인천시 주도로 창업기관과 투자회사, 학계, 성공 창업가, 마케팅 전문가 등 100명으로 구성된다.
창업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정책을 발굴해 인천시에 제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창업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만큼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화하는 가교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창업포럼은 창업정책, 창업자금, 창업생태계, 창업보육지원 등 4개 분과로 운영돼 정책 제안 활동을 하게 된다"며 "인천창업포럼을 인천 창업 정책의 구심점으로, 인천에 혁신적 창업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